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붉은안경곰135
붉은안경곰135

예방접종 백신은 같은 회사의 것으로 부스팅 해야 3년 가고 아니면 1년 가는 건지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나이 (개월)
1

사진과 같이 어떤 백신을 맞았는지에 대해 있는데, 얘가 한 살이라서 작년에 맞은 게 전부에요. 이제 1년이 거의 다 지났으니까 또 맞아야 해요. 이때 작년에 맞은 백신 중에 저 사진에 나오는 동일한 회사의 백신으로 맞아야 부스팅 효과로 3년 동안 안 맞아도 되나요? 동일하지 않은 회사로 맞으면 1년 후에 다시 맞아야 하고?

광견병/종합백신/코로나/ 켄넬코프 등이 그에 관해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부스터 백신은 1년에 한 번 맞는 것이 권장사항이긴 합니다.

    하지만 광견병 백신은 매해 맞추셔야 하며 해외 나갈 때 강아지 데리고 나갈 때도 추가로 맞추셔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광견병 백신의 경우 다른 백신과 교차 접종하면 부스팅 시 3년 적용이 아닙니다만, 같은 종류의 백신으로 부스팅 할 경우 3년으로 인정해줍니다. 다른 백신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제약회사마다 출고하는 백신의 형태나 백신 면역증강제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어떤 백신을 동일하게 투약하든, 같은 종류의 백신이나 A사와 B사의 백신을 교차로 투약하든 간에,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1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어떤 접종이든 간에 어릴 때 맞은 접종으로 2차면역은 죽을 때 까지 유지되긴 하나, 급성 감염이 찾아왔을 때, 초기 대응을 하기 위한 면역세포나 항체가 일정 농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그리고 강아지의 기본적인 컨디션이나 체력이 낮은 경우에는 좋지 못한 상황이 될 수 있기에 가급적 백신을 1년마다 부스터샷으로 맞으라고 하는 것이지요.

    추가로, 동물병원에서는 혈액샘플을 채취하여 현재 각 백신에 대한 항체가가 어느정도 있는 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접종 후에 아이의 백신효과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 가장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혈액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해당 회사의 제조과정에 포함되는 결핵균주의 사용여부 및 면역 부스팅 부영제의 차이에 따라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