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러졌는데 괜찮은가요????? 급해요 ㅠㅠㅠ
제가 평소에도 아침 안먹어서 아침 안먹고 1교시 체육을 하고 반으로 올라갔는데 속이 많이 안좋아서 잠깐 엎드리고 괜찮아 졌는데 학교 행사때문에 5분정도 서있었는데 속이 갑자기 많이 안좋아지더니 앞이 깜깜해 지면서 쓰러졌어요 병원 갔는데 별거 아니라고 보내는데 괜찮나요?
실신을 경험하신 것 같습니다.
평상시에는 심장, 혈관, 자율신경계,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해 혈압과 맥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만, 실신 시에는 혈압이 순간적으로 크게 떨어져 뇌로 가는 혈액이 감소하면서 의식을 잃고 쓰러집니다. 일반적으로 정상 수축기 혈압은 120 mmHg이지만, 실신 시에는 50~60 mmHg 정도로 낮아집니다. 대개는 뇌로 가는 혈액이 빠르게 회복되어 의식이 금방 돌아옵니다. 실신은 기절, 졸도, 실신 등으로 불리지만, 정확한 의학 용어는 실신입니다.
실신은 단순히 넘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현상으로, 실신과 유사한 상황들이 있습니다. 실신이 발생하기 전에 어지러움, 이명, 시야가 좁아지거나 어두워지는 느낌이 들며, 이는 뇌에 혈액이 부족하다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쓰러지면서 머리에 충격이 가해지면 직전 증상을 기억하지 못할 수 있으며, 직전 증상이 매우 짧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경련을 동반하며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일생 동안 실신을 경험하는 사람은 약 40%이며, 대다수는 한 번만 실신하지만 약 15%는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여성, 노인,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신으로 쓰러지는 사람 중 20%는 외상을 입으며, 실신의 원인뿐 아니라 결과로 인한 머리나 신체의 부상을 주의해야 합니다. 실신 후 바로 회복되더라도 원인에 따라 재발 위험이 크므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실신 직전 증상만 있다가 회복되는 경우에도 위험 신호로 간주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실신 원인 중 대표적인 것은 미주 신경성 실신으로 생명에 지장은 없습니다. 응급실에서도 간단한 검사결과 특이 이상소견이 확인되지 않아 미주신경성 실신이나 기립성 저혈압 정도로 판단을 했떤 것 같습니다.철저한 검사에도 약 40%는 원인을 찾지 못하나, 경과 관찰 중 원인이 밝혀질 수도 있습니다. 실신의 대표적 원인으로 반사성 실신, 혈관 미주 신경성 실신, 경동맥 팽대 실신, 배뇨 실신, 기침 실신, 발살바 실신 등이 있습니다.
실신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조사, 기립성 혈압 측정, 신체검사, 심전도 검사 등이 필요하며, 심장 문제일 경우 심장 전문의의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일반 혈액 검사로 빈혈, 저혈당, 전해질 불균형, 탈수 상태를 확인하며, 필요 시 뇌파 검사나 뇌 CT, MRI 등을 시행합니다. 증상이 반복되는 양상이시라면 순환기 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