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개가 하늘로 올라 가면 구름이 될 수가 있나요?

우리가 봄철에 많이 끼는 안개는

땅과 가까운 곳에 있지만 그 안개가 하늘로 올라 가면 구름이 될 수가 있는 건가요?

아니면 안개는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더이상 올라갈 수 없습니다

      안개는 지표면이나 수표면 부근에서 형성되는것이고

      구름은 애초에 수증기의 상승작용으로 생성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와 구름은 생성원리도 동일하고 성분도 동일합니다. 안개와 구름은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 안개가 되기도 하고 구름이 되기도 합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서 내려다볼 때 산 중턱에 걸려있는 것이 안개인지 구름인지, 산을 올라가는 도중에 보이는 것은 안개인지 구름인지, 지표면에서 산을 올려 보면서 보이는 것은 구름인지 안개인지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안개가 산비탈을 따라서 상승하면 구름이 될 수 있고, 구름도 지표면으로 내려오면 안개가 될 수 있습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지표면에서 생기는 수증기입니다. 그리고 지표면의 수증기가 대기로 올라가서 언제든지 구름이 될수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됩니다.

      이 과정이 땅에서 이루어진다(1km 미만)면 안개이고, 그 이상이면 구름입니다.

      안개가 그 상태로 사라지게 되지 구름이 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와 구름은 발생 과정이 비슷하지만, 그 차이는 밑 부분이 지표면에 접해 있으면서 시정이 1km미만이면 안개, 떨어져 있으면 구름이라고 합니다. 구름은 공기의 상승 운동이 있어야 생성되는데요. 안개는 지표면의 공기가 안정되야 생성됩니다.

      이렇듯이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생성원리가 다르므로 그렇게 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