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신통한발발이169
신통한발발이169

MRI 촬영할 때 치아 보철물이나 무릎 철심 심은 것에 대한 영향

MRI 촬영할 때 발생하는 자기력이 30000가우스 정도 된다고 어디서 들었어요

맞는지 모르겠지만 그럴때

치아 보철물(교정,임플란트)이나 무릎 철심 심은 것은 영향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MRI 촬영 시에는 강한 자기장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MRI 기계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은 30000 가우스보다 훨씬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MRI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기장 강도는 1.5 테슬라또는 3 테슬라정도입니다.

    치과 보철물이나 무릎에 심긴 철심은 MRI 촬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MRI 촬영 시에는 강한 자기장이 작용하므로, 자기장에 반응하는 물질이 있는 경우 이 물질의 움직임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과 보철물이나 무릎 철심과 같은 장치에서는 MRI 촬영 전에 의료진에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해당 장치와 촬영 가능 여부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MRI는 자기장과 공명의 원리를 이용해서 영상을 촬영한다는 뜻입니다. 자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생체의 임의의 단층상을 얻을 수 있는 첨단 의학 기계이며, 원통형 기계의 중앙에 누워서 촬영을 진행하는 것이죠.
    실제로 MRI는 매우 강한 자석의 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석이 붙는 금속이 근처에 있으면 매우 위험하며 실제로 사고가 난 안타까운 사례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치료를 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문제없다’입니다. 의료용 보철물은 대부분 자석에 붙지 않는 금속을 사용합니다. 크라운, 인레이, 아말감 모두 괜찮습니다. 교정 중이시라면 아주 간혹 자석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워낙 작고 가벼운 것들이기 때문에 힘을 별로 받지 않아서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전악 임플란트처럼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한 어르신들도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임플란트는 자석에 붙지 않는 티타늄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무릎 철심도 마찬가지 입니다. 자석에 붙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다면 문제가 없겠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치아 보철물이나 무릎 철심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MRI 촬영 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속은 자기장에 의해 끌리기 때문에, MRI 촬영 시 금속이 움직이거나 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아 보철물이나 무릎 철심은 MRI 촬영에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일부 특수한 경우는 MRI 촬영을 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MRI 촬영 전에는 의료진에게 치아 보철물이나 무릎 철심이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