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서맘
이서맘

고양이보다 강아지가 더위를 더 많이 타나요?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터기시앙고라

고양이도 강아지도 털이있는데 강아지들은 더워서 그런지 혀내밀고 헉헉거리잖아요 고양이는 헉헉 거리지 않는데 강아지들은 더워서 그러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의 경우 강아지 보다 활동량이 상대적으러 적어서 이런 헥헥 거리는 것이 안 보이는 것이지 둘다 더위를 타는 것은 비슷합니다.

      고양이와 강아지는 땀샘이 피부에 거의 없어서 열발산이 힘들어 상대적으로 더 더워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강아지가 고양이보다 더 더위를 많이 탄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강아지는 추운 곳에서도 잘 견디고 특히 에스키모 강아지 썰매를 타고 다니고 있는 것을 보면은 영하 40도 50도에서도 강아지는 견딜 수 있는 종입니다 하지만 추위를 잘 견디는 것만이. 이런 행동을. 하는것이 아니라 생리적인 현상입니다 강아지는 피부에 땀구멍이 거의 없기 때문에 혀를 통하여 체온조절을 합니다 그래서 조금만 더워도 헥헥거리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도 더우면 헉헉거립니다. 다만 강아지에 비하여 더위조절에 능숙합니다.

      강아지나 고양이 모두 땀샘이 발달하지 않아, 체온조절을 하려면

      호흡을 이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고양이들도 자세히 관찰해보시면, 더울 때 숨을 가쁘게 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시간내어 좋아요 추천 한번 씩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들은 체온조절을 위해 헥헥거리는것 뿐 아니라 자신의 긴장도가 높아졌음을 나타내는 신호로서도 헥헥거리기에 고양이와 단순하게 비교 평가해서는 안됩니다.

      고양이와 개의 관계는 사람과 소의 관계와 같은것이라 소의 기준으로 사람보고 여물이 필요한거 아니냐고 하는것과 같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와 강아지는 체온 조절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더위를 느낄 때의 증상도 다릅니다. 고양이는 기본적으로 코로 호흡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입으로 숨을 쉴 때 불편하다는 뜻을 내비칩니다. 반면 강아지는 입으로 숨을 쉬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더위를 느낄 때 혀를 내밀고 헉헉거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도 더위를 느낀다면 개구호흡을 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