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개운한개구리130
개운한개구리13022.12.12

겨울치고 따뜻한 날씨의 원인은 뭘까요??

올해는 다른 해보다 날씨가 좀 따뜻한것 같아요. 겨울같지 않게 느껴지는데 그 원인은 뭘까요?? 지구 온난화의 영향일지 일시적인 현상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여름이 길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름이 길어지니 봄과 가을, 그리고 겨울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매년 기후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쩔 때는 따뜻한 겨울을 지낼 때도 있지만 어쩔 때는 매우 추운 겨울을 지낼 때도 있습니다. 일시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지구 온난화에 의해 계속 사계절이 영향을 받고 있는건 사실입니다. 이는 겨울만의 문제가 아니고 여름때의 폭염 등도 이유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본격적인 겨울을 앞두고 이상 고온 현상이 벌어진 이유로는 '북극진동'이 찬 공기를 북극에 가둬 찬 공기가 한반도로 들어오지 못하는 점이 꼽힙니다.

    북극진동은 북극을 뒤덮은 찬 공기의 극소용돌이가 수일에서 수십일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이죠


  • 전문가들은 초겨울을 앞둔 이상 고온 현상을 ‘중단기 원인이 복합적으로 얽히며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단기적으론 한반도 남쪽을 중심으로 최근 1~2주간 고기압이 유독 발달했다.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북반구에서 고기압은 시계 방향으로 공기를 몰고 온다. 이에 따라 태평양 부근 온난한 바람이 남서쪽 혹은 남쪽에서 유입됐다는 것이다.

    중기 원인으로는 ‘북극진동’이 꼽힌다. 북극진동은 북극을 뒤덮은 찬 공기의 극소용돌이가 수일에서 수십일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이다. 북극진동이 강해지면 대기 소용돌이가 빨라져 찬 공기가 북극에 갇히게 된다. 최근 한 달간 북극진동이 강해져 찬 공기가 밖으로 새어 나오지 않았고, 결국 한반도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당분간 북극진동이 변화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112140781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에는 매우 추워졌죠.

    만일 북극풍이 약하고 시베리아기단의 확장이 늦어지면 우리나라는 좀 더 따뜻한 겨울을 맞게 됩니다.

    이 둘은 매우 차갑고 건조한 공기라서 따뜻한 공기를 남쪽으로 밀어내고 한반도를 덮어버리면 시베리아나 북극같은 혹한이 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