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예전에 황충에 대한 피해가 있던 기록이 있는데 현재는 왜 황충에 대한 피해가 없는걸까요?
우리나라도 예전에 황충에 대한 피해가 있던 기록이 있는데 현재는 왜 황충에 대한 피해가 없는걸까요?
다른 나라들 보면 황충으로 인한 피해가 보이기도 하던데 한국에서는 독립후 황충으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는 이야기를 듣지 못해서요. 어떤 원인으로 인해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황충이라고하는 메뚜기떼의 습격은
우리나라에서는 잘일어나지 않습니다.
메뚜기떼가 번성하기위해서는 넓은 곡식들이
존재하는곳이 있어야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그만큼 넓은 논밭이없고
도시화된곳이 많이 논밭을 옮겨다니며계속
살아있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메뚜기떼들의 피해가 없는것이죠.
감사합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황충은 흔히 메뚜기떼를 말하는데, 기록될정도로 심했던피해도 있습니다.
현대에와서는 먼저 농업기술과 해충방제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이와같은 현상이 사라졌습니다.
또한 도시화가 계속진행되다보니 대규모로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없습니다.
최는에는 기후변화떄문에도 메뚜기떼의 대량번식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1명 평가과거에는 예측하기 어려운 기후 변화로 인해 황충의 대량 번식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특히 가뭄과 같은 기후 조건은 황충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개다가 과거에는 주로 자연 상태에 가까운 농경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황충의 먹이가 풍부했고, 황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기술도 부족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과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농약이 개발되어 황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게 되었고 과거에 비해 농업 시스템이 과학화되고, 다양한 작물 재배 방식이 도입되면서 황충의 먹이원이 다변화되어 대량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1명 평가우리나라에서 황충 피해가 사라진 이유는 농업 기술의 발전과 기후 변화, 그리고 철저한 방제 관리 때문입니다. 현대에는 농약과 방제 기술이 발전하여 곤충의 대규모 번식을 초기에 억제할 수 있으며, 황충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인 넓은 초지와 건조한 기후가 상대적으로 적은 점도 한 요인입니다. 또한 농업 구조가 변화하면서 황충이 집중적으로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줄어들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