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전제정권이 했던 우민정책이란 무엇일까요 ?
일부 전제정권이 국민의 지적 능력 발달을 오히려 막는 우민정책을 진행했던 적이 있는데
어떠한 의도로 국민을 우매하게 만드려고 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민화, 일제 식민지하에서 우리 국민을 우민화, 즉 멍청하게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사실 모든 식민지를 받는 지역들을 대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식민통치하에 있는 국민들이 식민지배에 대해서 당연하게, 그리고 불만없이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서 최초에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그들이 반발하지 않게 공포로 다스리고 교육기관을 폐쇄하거나 교과서를 수정하는 등으로 해서 그들이 지배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느끼게끔 하는 아주 무서운 작업입니다. 어릴때부터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세뇌 작업 중의 하나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민화정책이란 국가 정권이 국민들을 우민으로 유도해 정치와 경제 , 사회, 국제에 대해 잘 모르고 관심도 없게 해 쉽게 지배하는 정책으로,
당시 우민화 정책을 통해 일본은 우리나라에 대한 경제, 문화 등의 전반적인것을 타파하고 자신들의 속국으로 만들기 위함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민화 정책의 주된 목적은 엘리트 계급의 부정과 비리를 위해 국민 의식 수준을 낮추는 데 있는데 불만이나 비판들을 틀어막기만 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니, 애초부터 그런 비판 의식을 갖지 못하도록 국민들을 어리석게 만드는 것이 목적 입니다. 전근대에는 기초적 교육을 제공하지 않고 지식을 친정부적인 권력층에만 집중 시키는 방법을 주로 썼다. 또한, 국민들에게 의무 교육은 제공 하되 고등교육은 특권층에 한정하고 정치적 무관심과 정치 혐오를 조장하는 방법 입니다. 우리 나라도 5공화국 전두환 대통령 당시 국민들에게 3s 정책을 우민화 정책으로 보기도 합니다. 3s는 ( screen, sex, sports) 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민 정책(愚民政策)은 지배자층이 기득권의 지위나 권력을 강화·안정시키기 위하여 정치에 대한 피지배자층의 비판력을 빼앗아두는 정책을 말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줄이려고 하는 목적으로 시행하는것입니다. 시사 프로그램의 폐지, 보도 프로그램의 약화 등도 우민정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쉽게말해서 우민정치란,
국민들을 멍청하게 만들어서 지배권들이 권력을 잡는 식의 정치입니다.
예를들면,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주지 않음으로써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불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