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가 종목들이 액면분할을 하지않는 이유는 뭔가요?
주가가 천원대인 것부터 비싼 주식은 100만원이 훌쩍 넘어가곤 합니다. 그런데 이처럼 고주가 종목들이 액면분할을 하지않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고주가 종목들이 액면분할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액면분할을 하게 되면 주식의 숫자가 늘어서
자신들의 소유권에 지장이 있을 수 있기에
액면분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분할을 하지 않는 기업들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액면분할의 단점도 분명 있기 때문인데요.
주주 구성: 1주당 가격이 비싸면 소액투자자 진입이 어렵습니다. 즉, 진지한 생각을 가진 장기투자자로 주주를 구성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변동성 통제: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소액투자자 진입이 어렵다 보니 흔히 말하는 사고팔고가 덜합니다. 주가의 변동성이 덜합니다.
이미지: 상대적으로 희소성과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액면분할은 장/단점이 나뉘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주가 종목이 굳이 액면분할을 하지 않는 이유는 기업 전략과 시장 신호에 있다고 봅니다.
먼저 높은 주가는 곧 프리이엄, 브랜드 가치를 상징 하기에 우량 이미지와 장기 투자자 중심의 주주 구성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래 단위가 커지면서 투기적 단타 매매를 억재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미 기관, 외국인 비중이 높은 종목의 경우 유동성 확보 필요성이 크지 않아 분할 할 유인이 낮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 이미지, 관리 편의성 때문에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동성 부족 문제없고 기관투자자 위주라면 필요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즉, 굳이 하지 않아도 수요는 충분하기 때문에 액면분할을 하지 않는 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주주입장에서 크게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대주주 오너 입장에서야 액면분할을 하는것은 회사로의 돈이 들어오는것도 아니며 자본의 자본항목이동되는 효과일뿐 실질적으로 아무런 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이유가 아닌이상이야 액면분할을 할 이유를 못느끼는것이며 대주주입장에서야 주가는 큰 관심도 아니며 대주주는 매각할때는 영업권프리미엄이라는 즉 시가와는 다르게 매각을 할 수 있고 지배구조 개선은 오히려 낮은 주가가 유리하기 때문에 별 관심이 없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주가 종목이 액면분할하지 않는 이유는 희소성과 프리미엄 이미지를 유지하고, 유통 물량 관리로 주주 구성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가 너무 높으면 액면분할을 해서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게 일반적인 흐름인데 의외로 어떤 기업들은 굳이 그 절차를 안 밟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굳이 주가 단위를 낮출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 이미지나 희소성 같은 걸 유지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또 액면분할을 해도 기업가치 자체가 바뀌는 건 아니니 단순히 숫자만 나눠지는 거라 판단하는 거죠. 그래서 고주가 종목일수록 오히려 안정적이고 장기 투자자 중심으로 흘러간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황제주 액면분할은 개인주주들 접근성이 좋아져서 단기 호재로 작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반대로 기업 측면에서는 소액주주가 늘어나고 주가변동성이 커져서 회사로서는 부담스럽다는게 일반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분할을 한다고 하여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분할을 해도 실제 기업의 가치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큰 상관이 없습니다
오히려 분할을하기 보다 실제 기업의 가치가 좋은 쪽으로 흘러야 의미가 있습니다
따라서 분할을 꼭 하지 않아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분할은 기업이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고 발행 주식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고 소액 투자자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데요. 단점인 액면분할 후 주가가 하락하거나 단기적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액면분할 과정에서 법적·회계적 비용과 주주에게 새로운 주식 증서 발급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서 액면분할을 안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