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한일합방때 조선왕조의 저항은 없었나요?
교과서에는 일방적으로 일본에게 당한걸로 나오는데 정말 왕조의 저항은 없었는지요? 그냥일반적으로 당하기만 한건지 구금합니다. 저항이 없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이 박탈되고, 1907년 군대까지 해산되고 나서 합병 당시에는 실질적으로 저항력이 약화된 상태였습니다.
합방 조약이 진행되던 1910년 8월 대신들은 일본 통감부의 압박과 사전 공작 아래 대부분 조약에 찬성하거나 어쩔 수 동조했습니다. 다시 학부 대신 이용직 등 소수는 반대해 쫒겨났으나 대부분은 친일 내각이기 때문에 조인에 협조하는 태도였습니다. 게다가 고종도 헤이그 특사로 강제 퇴위된 상태로 순종도 합병 조약에 크게 저항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왕좌와 관료들과는 다르게 민중들은 의병에 합류하여 전국 각지에서 저항을 지속했으며, 일부는 국경을 넘어 독립군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일부는 비밀결사를 만들어 독립을 기도했습니다. 예를 들어 독립의군부와 대한광복회는 무장투쟁을 통해 국권 회복을 도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