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을 메인넷을 사용하지 않고 이더리움 체인을 사용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네트웍 보상은 왜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블록체인을 구성할때, 메인넷을 사용하지 않고 이더리움 호환 토큰을 만들어서 사용한다는것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그럴 경우 네트웍을 가동하기 위한 토큰 보상이 필요없을텐데, 왜 이더리움 호환 토큰들은 참여자에게 보상을 주나요?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 보통 암호화폐가 독자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을 메인넷이라고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이더리움(ERC-20) 또는 이오스, 트론 등 다른 암호화폐의 네트워크 내에서 생태계를 구성하는 암호화폐를 토큰이라고 일컫습니다. -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암호화폐를 발행하면, 토큰발행도 쉽기도 하고 안정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토큰 발행을 많이하지만, 수수료로 이더리움을 지급해야됩니다. 그렇다고 메인넷을 진행한 코인이라고 하더라도 수수료/보상이 필요합니다. 트랜잭션이 일어나면 검증인(노드)가 필요하면 그에 대한 보상이 이뤄져야되기 때문에 보상의 문제는 네트워크 종류와는 별개라고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물론, 예외도 있습니다.) - 때문에 채굴/보상은 이더리움 호환토큰뿐만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의 암호화폐, 메인넷 암호화폐도 동일합니다. - 질문에 도움이되셨길 바랍니다. 
- ERC-20 토큰을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 이더리움상에서 동작하는 암호화 화폐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 ERC-20으로 만들어진 토큰은 채굴을 한다는 것이 다른 의미일 수 있습니다. - 아하 토큰은 ERC-20토큰은 아니지만 비슷한 종류의 토큰입니다. - 아하 서비스를 보게 되면 채굴을 하는 방법이 컴퓨터를 사용해서 채굴하는 방식이 아닌 지식 컨텐츠를 만들고 거기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 화폐를 주고 있습니다. - 이것을 잘 생각해보면 네이버의 지식인이랑 비슷합니다. - 지식인의 내공이 아하 토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아하 토큰과 지식인 내공의 차이점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지 안하는지 정도의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