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수입제품으로 판매를 시작해보고 싶은데…

사업목적의 모든 수입 물품이 관세 대상에서 일반 관세 내용보다 더 복잡하고 절차가 길어지나요? 그에따른 비용 발생도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상품은 애완동물 관련 영품으로 음용이나 식품으로하는 상품은 다루지 않으려고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주봉 관세사
      김주봉 관세사
      해드림 관세사무소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입물품에는 관세 및 내국세가 부과되며, 수입 요건이 있는 경우 구비해야 수입이 가능하므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다만, 품목에 따라 수입요건이 있는 품목도 있고 없는 품목도 있습니다. 주로 식품 등 인체 및 사람과 접촉하는 품목들은 수입요건이 요구되지만 자본재 등 공산품에서는 요구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입요건이 없는 경우라면 관세사에게는 수입통관 수수료만 지불하면 되지만, 수입 요건이 있고 이를 대행을 요청하는 경우 검역대행 컨설팅 및 처리 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입하려는 품목명과 HS CODE(품목번호)를 정확하게 확인하는게 중요합니다. HS CODE를 파악하면 그에 따른 관세정보(관세, 내국세, 수입요건)가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확인이 쉬우므로 정확하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업목적의 모둔 수입물품이 일반 관세 내용보다 더 복잡한 절차가 이루어진다는 말씀의 뜻이 명확히 이해가지 않습니다.

      개인의 용도로 수입을 하는 것보다 사업의 용도로 수입하는 것이 더 복잡한 절차를 거치는지 여쭤보시는 것이라면,

      일반적으로 물품을 자가소비(개인의 용도)하실 것으로 수입하시는 경우라면 소액의 경우 관세면제, 수입요건의 면제(전파법, 전안법 등에 대한 인증 면제 등)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에 반해 사업자통관의 경우 수입요건이 있는 경우 그에 따라 수입요건을 득한 이후 통관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자가사용용도라고 하더라도 물품의 수입이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애완동물 용품은 다양하게 있지만 예를들면 애완동물용 사료 등의 경우에는 개인이 해외직구를 하여 수입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dailyvet.co.kr/news/prevention-hygiene/105455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가사용을 위한 물품의 수입이나 사업목적의 물품의 수입의 절차는 동일하며, 비용 또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사업 처음으로 진행하시는 분들께 항상 제가 조언드리는 내용이 있는데 아래 내용입니다.

      첫번쨰, 내가 원하는 아이템의 선정 및 수입시 필요한 사항을 정리

      수입하고자하는 아이템 선정 및 해당물품의 수입시 필요한 사항을 알아야합니다. 수입시 필요한 사항이라고하면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입자가 아이템마다 확인하는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관세사에게 문의를 하고 진행을 합니다.

      두번째, 수출국 담당자와 접촉이 되었는가 ?

      아이템을 정했다면 해당 아이템을 판매하는 업체와 접촉이 되어야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기억에 남았던 문의가 있습니다. 문의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각색없이 20분동안 통화했던 내용을 압축한 내용입니다. 식품뿐만 아니고, 일반적인 공산품 같은 경우에도 수출국 담당자와 컨택없이는 수입진행이 안됩니다. 수출국 담당자라고하면, 수출국의 실제 수출자가 될수도 있고 유통사나 브로커, 인터넷 구매사이트인 아마존, 알리바바가 될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초동물량이나 소량, 일회성 거래의 경우에는 아마존, 알리바바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만, 금액 NEGO나 기타사항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결국엔 사람과 접촉해야지만 지속적인 무역이 가능합니다.

      세번쨰, 지급방식은 어떻게 되는가?

      물품을 구매시 어떻게든 물품금액을 지불해야만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도 물품 구매시 현금, 체크카드, 신용카드, 삼성pay, 쿠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제가 가능하듯 무역에서도 T/T거래, 신용장(L/C거래), 추심거래, 팩토링, 포페이팅거래등 결제방법이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지급방식은 TT거래가 많습니다만, 첫거래의 경우 상호간의 신뢰가 형성되기 전이니, 신용장을 수반하는 지급방식도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지급방식 및 은행을 거치는 경우 은행수수료는 얼마가 드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네번째, 수입시 발생되는 총 비용?

      수출자와 거래가 다 끝나고, 수출국에서 물품이 출발하여 수입국의 수입자가 원하는 지역까지 발생되는 모든비용을 알아야됩니다. 비용도 아이템마다 인코텀즈마다 차이가 나기때문에 사전에 대략적으로나마 예상비용을 아는게 중요합니다.

      상기는 예시일뿐이며, 상황마다 발생되는 비용이 추가되거나 줄어들수 있습니다. 비용을 아끼는 방법은 실력 좋은 관세사 조언 듣고 진행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현재 애완동물 사료 및 장난감 취급하는 업체 다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이 먹는 사료가 아닌 이상 크게 까다로운 부분은 없습니다.

      실제로 진행하시고 싶으시고 잘 모르겠다고 생각되시면 해당 기본적인 내용을 해당 사이트에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https://blog.naver.com/ccbjaesanglee )

      생각 잘 정리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