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항상성에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1.항원 ㄱ과 ㄴ을 가지는 병원체가 침투해서 1차면역반응이 끝나면 2차 면역반응에서 서로 다른 기억세포에서 생성되나요?
2. ADH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콩팥으로 이동하나요? 혈액인가요? 아니면 자율신경계인가요(자율신경이면 교감?부교감?)
안녕하세요.
1. 1차 면역반응은 병원체가 처음 몸에 침투했을 때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B세포와 T세포가 활성화됩니다. 이들 중 일부는 기억세포로 분화하여 몸에 남게 됩니다.2. ADH, 또는 바소프레신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ADH의 주된 기능은 체내의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것으로, 특히 콩팥의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켜 소변의 양을 줄이고 체내의 수분을 보존하는 역할을 합니다.
1명 평가네, 맞습니다. 2차 면역 반응에서는 항원 ㄱ과 ㄴ에 대한 각각 다른 기억 세포에서 기억 세포가 생성됩니다.
1차 면역 반응 과정에서 B 림프구는 항원 ㄱ과 ㄴ에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하는 형질 세포로 분화합니다. 그러나 일부 B 림프구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지 않고 기억 세포로 남아 항원에 대한 기억을 유지합니다.
2차 면역 반응에서 동일한 항원 ㄱ과 ㄴ이 다시 침투하면 기억 세포는 신속하게 활성화되어 형질 세포로 분화하여 다량의 항체를 생산합니다.
이때, 기억 세포는 각각 항원 ㄱ과 ㄴ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하는 별도의 형질 세포로 분화합니다.
따라서 2차 면역 반응에서는 항원 ㄱ과 ㄴ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 세포에서 기억 세포가 생성되어 각각의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ADH는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이동합니다.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 ADH는 혈류를 타고 콩팥에 도달하며, 콩팥의 요관 세포에 작용하여 수분 흡수를 촉진합니다. 따라서 ADH 분비 경로는 자율 신경계가 아닌 혈액 순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1. 항원 ㄱ과 ㄴ을 가지는 병원체가 침투한 경우, 1차 면역반응 동안 각각의 항원에 대해 특정 기억세포가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항원 ㄱ에 대해 기억세포가 생성되고, 항원 ㄴ에 대해서도 기억세포가 생성됩니다.
항이뇨호르몬(ADH)는 간뇌 시상하부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며, 혈액을 통해 이동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원 ㄱ과 ㄴ을 가지는 병원체가 침투하면 1차면역반응이 일어나고 이후에 2차 면역반응에서는 서로 다른 기억세포에서 생성되는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일단 1차면역반응에서는 항원에 대한 기억세포가 형성되고 이후에 다시 같은 항원이 침투하면 2차 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때 2차 면역반응에서는 기억세포가 아닌 다른 세포에서도 항원에 대한 기억이 활성화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1차면역반응에서 형성된 기억세포는 여전히 존재하며 다시 같은 항원이 침투하면 이 기억세포가 활성화되어 2차 면역반응에 참여합니다. 따라서 2차 면역반응에서는 기억세포뿐만 아니라 다른 세포들도 항원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 있어서 보다 빠르고 강력한 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즉 1차면역반응에서 형성된 기억세포와 2차 면역반응에서 활성화된 다른 세포들이 함께 작용하여 생명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1. 1차 면역반응이 끝나면 2차 면역반응에서 서로 다른 기억세포에서 생성됩니다. 기억세포는 이전에 항원을 인식하고 기억하는 세포로, 다시 동일한 항원에 노출될 때 빠르고 효율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킵니다. 1차 면역반응에서 생성된 기억세포는 다양한 종류의 면역세포로 분화하여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2. ADH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성되며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이동합니다. ADH는 혈액 중의 농도에 따라 분비되어 콩팥에서 물과 염을 재흡수하거나 배설하도록 조절합니다. 이 과정에서 ADH는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이동하며 자율신경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네, 생명 항상성에 관한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1. 항원 ㄱ과 ㄴ을 가진 병원체에 대한 1차 면역반응 후 2차 면역반응에서는, 각 항원에 대해 서로 다른 기억세포가 생성됩니다. 각 항원은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므로, 항원 ㄱ에 대한 기억세포와 항원 ㄴ에 대한 기억세포가 별도로 형성됩니다.
2. ADH(항이뇨 호르몬)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 후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이동합니다. 이 호르몬은 내분비계의 일부로, 혈류를 따라 순환하여 표적 기관인 콩팥에 도달합니다. ADH는 자율신경계를 통해 이동하지 않으며, 직접적으로 혈액을 통해 운반됩니다.
추가 설명이 필요하시면 말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