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2.11.28

하늘의 눈은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겨울이 오면 모두 눈을 기다립니다.

눈이오는 가운데 크리스마스도

맞고 연인들은 감성에도

젖게하는 하얗게 내리는 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비처럼 구름 알갱이가 모여서 만들어지기는 하지만, 비와는 달라요. 구름을 이루고 있는 물방울들은 온도가 낮아지면 얼음 알갱이가 되어요. 이 얼음 알갱이에 수증기가 달라붙으면 점점 커지지요. 그러다가 무거워져서 땅으로 떨어지면 눈이 되는 거예요.

    눈송이는 얼음 알갱이가 얼마나 달라붙어 있는지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달라져요. 눈 결정은 보통 2mm 정도의 크기이며, 하늘에서 내릴 때 서로 엉겨 붙어 눈송이를 이루어요. 흔히 말하는 함박눈은 포근한 날에 잘 내린답니다.


  • 눈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져 얼음 알갱이로 변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증발해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일정크기 이상 덩치가 커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눈입니다.


  • 비가 만들어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눈이 만들어지는데요.


    수증기가 하늘로 올라가면서 기압이 낮아져 팽창하고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구름이 생성됩니다.

    이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된 상태로 물방이나 얼음으로 존재하는데 서로 붙어서 무거워지면 땅으로 다시 내려옵니다. 이게 눈이나 비죠! 지상부근의 온도에 따라 0도 미만이면 눈으로 내리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겨울에 기온이 영하로 내려갔을 때 내리는데요


    구름을 이루고 있는 물방울들이 수증기가 되고


    기온이 떨어졌을 때는 얼음 알갱이로 변합니다


    그리고 이 얼음알갱이들이 성장하여 무거워지면


    더이상 버티지 못하고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것이 저희가 좋아하는 눈입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상층부에 있는 얼음알갱이에 수증기와 작은 물방울들이 달라붙어 커지고 내려오면서 기온이 낮아서 녹지않으면 눈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