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기발한파리23
기발한파리23

중국 자본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요즘은 중국 경제가 좋지 않은데 중국 경제가 좋던 시기에는 중국 투기자본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불렀잖아요.

중국 자본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계 투기 자본을 일컬어 '왕서방' 자본이라고 하는데요. 중국인을 왕서방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과거 중국의 비단장수가 세계를 돌아다니며 비단을 팔아 거상이 되었는데 당시 중국인들 성씨중 가장많은 성씨가 왕씨여서 왕서방이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는 김씨가 많아 kim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듯 비슷한 경우입니다.) 2000년대 이후 중국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거부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생기면서, 대규모 해외투자가 일상화되어 중국 자본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르게 됐습니다.

  • 왕서방 자본이라는 표현은 중국의 투자자본이나 자산을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주로 중국 경제가 활발했던 시기나 부동산 시장 등에서 중국 자본이 대규모로 유입될 때 사용되었습니다. 이 표현의 유래는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씨인 '왕(王)'과 과거 중국 상인이나 돈 많은 자본가를 가리키던 '서방(西方)'이라는 단어의 조합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는 중국 자본가들이 돈을 통해 대규모 투자나 투기를 일으키며 이익을 추구하는 모습을 풍자적으로 묘사한 것입니다.

    특히, 중국 자본이 국내외 부동산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투자를 감행하며 가격 상승을 유도하거나, 대규모 투기를 통해 자산 시장에 영향을 끼쳤을 때 이 용어가 자주 등장했습니다. 최근 중국 경제 둔화로 인해 이러한 표현이 덜 사용되고 있지만, 과거 중국 경제의 부흥기와 투기 열풍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 확실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고 별명 같은 겁니다 예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중국 사람 또는 중국 남자 남자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왕서방이라는 표현을 많이 썼습니다. 단순히 그런 이유에서 왕서방 자본이라는 표현을 쓰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자본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역사적 배경과 경제적 특성이 결합된 표현으로, 중국 부유층이나 자본가를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왕서방이라는 용어는 과거 중국에서 흔히 사용된 성씨인 왕과 친근함을 나타내는 서방이라는 단어가 결합된 것으로,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을 의미합니다.

    경제적으로는 중국 자본이 특정 지역의 부동산, 금융 시장 등에 대규모로 유입되어 빠르게 변화를 일으키는 모습을 묘사하는 데 이 용어가 쓰였습니다. 특히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던 시기에는 이 자본이 해외로도 활발히 진출하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를 두고 왕서방 자본이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이 표현은 중국 자본이 가진 강력한 자금력과 시장 지배력을 상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투기적 성격을 띤다는 비판적인 뉘앙스를 포함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경제적 맥락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중국을 왕서방, 중국은 한국을 박가네라고 부르는 문화가 있는데요.

    양국이 자주 쓰이는 성씨를 부르며 친근함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시작한 것입니다.

    왕은 중국의 가장 흔한 성씨인데요.

    서방은 한국 전통 사회에서 친근한 사람이나 사위를 부를 때 쓰는 표현으로

    왕서방이라는 말은 중국인을 존중하면서고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으로 사용된 것입니다.

    이에 중국자본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사람을 이미지화 할때 비단장수 왕서방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왕서방 이미지가 뚱뚱하면서 중국 고유복장을 한 사람이라 중국사람 같은게 중국자본 들어오면 왕서방 자본 들어왔다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용!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왕서방 자본"이라는 표현을 접하면서 그 유래에 대해 궁금해하시죠. 실제로 이 용어는 중국 자본의 특징과 관련된 흥미로운 맥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왕서방"은 중국에서 흔히 쓰이는 성인 "왕(王)"과 친근한 호칭 "서방"이 결합된 표현으로, 전통적으로 부유하고 상업적 감각이 뛰어난 중국 상인을 상징합니다. 과거 한국 사회에서 중국인 상인을 부를 때도 "왕서방"이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었죠. 그래서 중국 자본이 국내외 경제에 활발히 진출하던 시기, 이를 친숙하면서도 약간 풍자적인 뉘앙스로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른 겁니다.

    현재 중국 경제가 둔화되며 과거처럼 활발한 투자 활동은 줄어들었지만, 이런 표현은 당시의 기억을 상징적으로 남기고 있죠. 비슷한 현상이 반복될 수도 있으니 동향을 계속 주시하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인에 왕씨가 많아서 과거부터 전통적으로 중국 상인들을 왕서방이라고 불렀고 이런 중국 상인들의 자금, 현재는 중국의 대규모 자본금이 들어오는 것을 왕서방 자본이라고 부르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왕서방은 한국에서 중국사람, 특히 중국 상인을 지칭하는 오래된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는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에 걸쳐 한국으로 온 중국 상인들이 주로 돈이 많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부유한 중국인을 상징적으로 부르는 말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때의 '왕'은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씨 중 하나이고 '서방'은 조선 시대 이후 남성을 지칭하거나 부유한 사업가를 일컫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에 들어 '왕서방 자본'이라는 표현은 주로 2000년대 이후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함께 중국에서 유입된 막대한 자본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부동산, 주식 시장 등에서 투기 성향이 강한 중국 자본이 국내외 경제에 영향을 끼치면서, '왕서방'이라는 표현이 다시 등장하며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중국 자본가나 투자자를 상징하게 된 것입니다.

    중국 자본이 부동산 시장이나 주요 경제 분야에서 때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인식과 결합되어, 왕서방 자본은 단순히 돈이 많고 영향력이 큰 중국 자본을 지칭하는 동시에 때로는 비판적인 뉘앙스를 내포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