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21

현재 러시아 경제 상황과 영향

지금 러시아 경제 상황이 어떤가요? 루블화의 가치가 얼마에서 얼마로 내려갔나요? 그리고 3월 16일 국채 만기 이후로 러시아 경제에 어떤 영향이 발생할지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2.08.21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러시아 경제상황은 미국과 서방의 경제 재제에도 불구하고 '매우 맑음'의 상황입니다.

    언론은 러시아가 '디폴트'상황까지 왔었다. 혹은 경제 제재로 인하여 매우 빈곤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라는 말을 했지만 실제로 러시아에 거주하는 한인분들의 소식은 오히려 전쟁전보다 더 나은 상황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의 기준금리는 전쟁전인 2월에는 9.5% 수준이었으며 전쟁직후 대외제재로 인하여 20%까지 치솟으면서 매우 힘든 시기를 보내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기준금리 8%로 오히려 금리를 점차적으로 내리고 있습니다. 이는 러시아의 경제 상황이 매우 안정적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게다가 루블화의 가치도 전쟁전 2월에는 원화대비 14원(1루블)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22.45원(1루블)의 환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전 세계에서 자급자족이 가능한 내수시장과 지하자원, 그리고 기술력을 갖춘 3개의 국가중 하나입니다. 러시아에 대한 미국과 서방의 제재는 오히려 원유를 수입하지 못하게 된 미국과 천연가스를 수입하지 못하게된 유럽의 인플레이션을 가져왔고 유럽과 미국의 경제상황은 오히려 악화되었지만 러시아의 경제상황은 나아지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의 채권발행은 모두 '달러'표시의 채권으로 발행되었습니다. 당연하게도 채권자들은 만기시 '달러'로 지급받기를 원하였지만 미국의 제재로 인하여 러시아는 천연가스 및 원유 판매대금을 달러로 수취하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구멍이 발생하게 됩니다. 바로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의 원유와 천연가스를 오히려 더 저렴하게 사준것입니다.(서방과 미국의 제재에 동참하지 않음)

    그리고 러시아는 이 대금을 루블화와 위안와(CNY)로 결제 받게 되었고, 러시아는 대외결제수단으로 달러대신 루블화와 위안화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달러채권은 갚지 못했으나 돈은 많은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공산품이나 식자재등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것들이 수입이 막히자 국산제품(러시아산)으로 교체되기 시작하였고 소비자들 또한 다른 대안이 없으니 러시아산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기술력이 있다보니 크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고 오히려 거의 모든 수입제품들의 국산화가 이루어져 내수경제가 튼튼해진 결과를 낳게 되었습니다.

    지금 러시아 경제는 유럽의 그 어떤 국가보다도 튼튼한 상황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오래끌수록 유럽경제가 오히려 좋지 않은 상황으로 가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앞으로도 러시아가 디폴트를 선언할 일은 없어보이며, 전쟁의 종결과 제재가 풀려야 오히려 유럽과 국내 경기가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러시아가 원유나 천연가스 등을 서방국가들을 제외하고 수출을 하고 있어 무역수지는

    개선이 된 것이 사실이나 소비심리도 위축, 제조업 등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 각종 지표를

    통하여 확인이 되며 경제성장률 또한 -10% 가까이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