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변환하기 위해 어떻게 스왑을 활용하나요?

A라는 기업이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바꾸고 싶은데 스왑을 활용한다면 예를 들어 고정금리가 B기업은 3.5프로이고 A기업은 6프로라고 할게요. 변동금리는 A기업이 Libor+0.3%, B기업이 Libor+0.7%라면 어떻게 스왑금리가 결정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스왑을 통해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기업은 변동금리(Libor+0.3%)를 지급하고 고정금리를 받고자 하고, B 기업은 고정금리(3.5%)를 지급하고 변동금리를 받고자 한다고 가정합니다. 이 두 기업은 서로의 니즈에 맞춰 금리 스왑 계약을 체결합니다.

    스왑 금리는 두 기업의 상대적 신용도와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스왑 금리는 각 기업이 시장에서 직접 얻을 수 있는 금리보다 유리한 수준으로 설정됩니다. 이를 위해 양측의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의 차이를 비교하여 공통의 기준선(swap rate)을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이 시장에서 변동금리로 차입할 경우 Libor+0.3%를 지불해야 하고, B 기업은 Libor+0.7%를 지불해야 합니다. B 기업은 고정금리를 3.5%로 차입할 수 있으므로, 스왑 계약에서는 A 기업이 고정금리 3.5%를 지급하고 B 기업은 Libor를 기준으로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구조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스왑 계약을 통해 A 기업은 변동금리 대신 3.5%의 고정금리를 효과적으로 부담하게 되고, B 기업은 고정금리 대신 Libor를 기준으로 한 변동금리를 부담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스왑 딜러가 중간에서 금리를 조정하며, 추가적인 수수료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