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지 얼음 소비가 많네요.

저희 사무실에도 하루에 냉장고 냉동실에 각 얼음 트레이가 비어 있는 날이 많아서

며칠전에 제빙기를 사서 처음 가동해봤는데...

제빙기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왜 모두 하얗게 나올까요?

일반, 냉장고 냉동실에서 만들어진 각 얼음은 투명,반투명 정도인데...제빙기는 유달리 하얗게 나오네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불투명하게 보이는 이유는 어는 과정에서 빠져나가지 못한 공기로 인해 불투명해 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정에서도 투명하게 만들기 어렵습니다.

      또는 불이 부족해서 일수도 있습니다. 급수라인을 확인해 보시는게 도움이 되실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밀도가 낮아 얼 때 표면부터 얼어버리는데, 이 때 얼면서 기포가 빠지지 못하고 갇혀버리면 하얀 얼음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표면부터 빠르게 어는 경우 공기방울들이 나오지못하고 안에 갇혀 기포를 형성하며 빛을 굴절시키고 하얀색으로 보이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투명한데 안으로 갈수록 하해지는 이유는 물에 녹아 있는 무기질과 기타 기체들때문입니다. 실제로 순수한 물을 얼리면 물에 녹아 있는 기체나 무기질이 없어서 투명해지지만 기타 기체나 무기질떄문에 굴절이 일어나면서 보이기에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먹는 물에는 칼슘, 마그네슘등 그리고 무기질과 기타 약간의 기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물이 얼떄에는 표면이 먼저 얼고 차츰안으로 얼어서 안쪽에 기타 물질들이 들어가게 되어서 안쪽이 하얗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빙기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이 하얗게 나오는 이유는 제빙기에서 얼음을 얼리는 과정에서 공기가 들어가 그렇습니다 공기는 찬 공기에서 얼면 작은 기포로 변합니다. 이 기포가 얼음의 표면에 갇히면 얼음이 하얗게 보입니다 반면 냉장고 냉동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공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얼음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빙기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이 하얗게 나오는 이유는, 제빙기에서 얼음이 만들어지는 방식 때문입니다. 냉장고나 냉동고에서는 얼음이 천천히 얼어서 얼음 결정이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얼음이 반투명하게 나오는 반면, 제빙기에서는 물을 짧은 시간 동안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급속하게 냉각시켜 얼음 결정을 작게 만들어서 얼음이 하얗게 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빙기에서 얼음을 만들 때는 보통 냉각 과정이 빠르고 온도가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물이 빠르게 얼어붙고 얼음 결정이 작고 밀집되어 하얗게 나올 수 있습니다. 반면, 냉장고 냉동실에서는 냉각 과정이 상대적으로 느리고 온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얼음 결정이 크고 상대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