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 초보자가 알아야 할 기본 용어는 무엇이 있나요?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기본적인 용어나 개념이 너무 많아서 혼란스럽습니다. '주식', '주가', '배당', 'PER', 'PBR' 등 자주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와 의미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철민 경제전문가
    이철민 경제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안녕하세요.

    주식은 주식회사의 정책에 대해서 결정을 할 수 있는 의결권이 있는 증서입니다. 다만 우리들에게는 투자를 위한 수단입니다

    주가는 주식의 가격을 말합니다

    배당이라는 것은 은행 이자처럼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돈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per 와 pbr 은 각각 수익과 자산을 기준으로 고평가여부를 따지는 지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주식회사의 주식을 말하며 그 회사의 지분을 말하는 것입니다. 내가 소유한 주식수량만큼 그 회사를 소유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주주라고 말합니다.

    주가는 주식의 가격입니다.

    배당은 주식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어느정도 주주에게 돌려주는 것입니다. 보통 회사 잉여금이 많이 남거나, 회사 자체가 주주친화적이거나, 아니면 성장이 끝나서 주가상승으로 주주에게 이익을 못돌려줄 가능성이 있어서 배당을 많이주거나 등등의 이유가 큽니다.

    PER은 주가수익배율이라고 하는데 쉽게 말하면 해당 주식의 투자심리나 인기라고 할수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가치는 결국 그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있습니다. 그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을 주식수로 나누면 한 주당 회사의 이익이 얼마인지가 나오는데 이게 EPS입니다. 어찌보면 EPS가 진짜 회사의 한주당 가치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주가는 보통 이것보다 높습니다. EPS보다 주가가 몇배높은지가 PER입니다. 그래서 이 높은 이유가 그 회사가 앞으로 주가가 오르리나는 투자심리나 인기로 반영된걸로 처음에 접근하면 될것입니다.

    PBR은 회사의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몇배 높냐입니다. 여기서 장부가치는 순자산을 말하는데, 회사의 순자산보다 회사의 주가가 높냐 낮냐 입니다. 보통은 은행에서 이걸 많이 보는데, 그 이유는 은행은 돈으로 돈을 버는 회사라 결국 자산이 얼마냐 많냐가 그 회사가 돈 잘벌수 있냐 마냐로 볼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주식: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로, 주식을 소유하면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게 됩니다.

    2. 주가: 주식의 시장 가격으로, 주식이 거래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합니다.

    3. 배당: 회사가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주주가 보유한 주식 수에 따라 지급됩니다. 배당은 주식 투자 수익의 한 형태입니다.

    4.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비율로, 주식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PER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순자산(BPS)으로 나눈 비율로, 회사의 자산 가치를 기준으로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냅니다. PBR이 1 이하일 경우, 자산 대비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언급하신 기본 용어들을 간략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주식 (Stock)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입니다. 주식을 사면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2. 주가 (Stock Price)

    주가는 주식 한 주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3.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현금 또는 추가 주식으로 분배하는 것입니다.

    4.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즉, 주가가 회사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5.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입니다. 회사의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주식이란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로서의 금액 및 이를 전제로 한 주주의 권리·의무를 나타냅니다.

    주가는 주식의 가격이고, 배당이란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소유 지분에 따라 기업이 이윤을 분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PER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으로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비율이고,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 / 순자산으로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나타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이란 기업 즉 회사는 영업활동을 통해 이익이 일어나고 그 이익을 주주에게 배분하는 게 원칙입니다. 이것을 이윤배당이라고 한다. 이윤배당을 극대화하는 것이 주식회사의 목적이고, 이 배당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는 주주에게만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윤배당은 주주총회의 중요한 의결사항입니다. PBR 혹은 P/B라고도 쓰면 Price-To-Book Ratio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는 주가장부가치비율이라고 부르며 주가와 장부가치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율이다. PBR은 주당 시장가격을 주당 장부가치로 나눈 것입니다. PER은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알아야 할 몇 가지 기본 용어가 있습니다.

    1. 주식: 주식은 회사의 작은 조각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식을 사면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게 되는 겁니다.

    2. 주가: 주가는 주식의 가격을 말합니다. 주가는 매일 변할 수 있습니다.

    3. 배당: 배당은 회사가 이익을 내면 주주들에게 나누어주는 돈입니다.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배당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4. PER: PER는 '주가수익비율'이라고도 하는데 주가가 회사의 이익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를 나타냅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일 수 있습니다

    5. PBR: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가 회사의 자산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이 숫자가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기본 용어들을 이해하면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초보자가 알아야 할 기본 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질문 속에 나오는

    주식이란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것으로 기업의 자금을 확보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증서입니다.

    주가는 위의 주식에 매겨지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배당은 주식회사가 잉여이익금 등이 생기면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인센티브의 성격입니다.

    PER은 Price Earning Ratio로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하고

    PBR은 Price to Book Ratio로 주가순자산비율을 가리킵니다.

  •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라면, 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이며, 주가는 이 증서의 가격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기업이 이익을 나눠주는 배당, 주가를 평가하는 PER과 PBR 등 기본적인 용어들을 이해하면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낯선 용어들에 겁먹지 말고 하나씩 차근차근 배워나가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