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귀여운쏙독새199
귀여운쏙독새199

아킬레스건 염인지 파열이지 궁금해요

나이
25
성별
남성
스노우 보드 타던 중 거골이 골절되어 수술 후 통깁스한지 2주정도 지났습니다. 혹여나 아킬레스건이 파열되었을 까봐 걱정되어 글 써봅니다.

Q1. 보드화로 발목이 고정되어있는데 파열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보드화 벗을때 통증이 없었던것 같아요)


Q.2 현재 증상이 아킬레스건 파열증상인가요?(현재 증상: 발가락 안다친쪽과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음, 다친 발쪽 발끝으로 의자를 살짝 밀 수 있음, 복숭아뼈쪽이 따끔 거림, 발목 뒤쪽이 아주 가끔 욱씬 거림, 발가락 굽히는게 깁스를 해서 그런건지 제가 불안해서 그런런지 안다친쪽보단 약간 굽히기 힘듬, 통깁스에 발 뒷쪽이 닿아도 통증이 없음, 발가락을 들었을때 종아리근육이 움직임, 발가락을 손으로 몸쪽으로 댕겼을때 통증 없음, 꿈치뼈가 가끔 시큰 거림)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스노우보드를 타다가 발생한 거골 골절 후 아킬레스건 파열의 우려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제시한 증상을 바탕으로 아킬레스건 파열의 직접적인 징후는 보이지 않습니다. 아킬레스건 파열의 전형적인 증상에는 급작스러운 심한 통증, 걷거나 발뒤꿈치를 들어올릴 때 어려움, 발뒤꿈치 뒤쪽에 뚜렷한 덩어리 또는 간격이 느껴지는 경우 등이 포함됩니다. 현재 증상은 거골 골절과 관련된 통증과 불편함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깁스로 인한 움직임의 제한과 불편함이 주된 원인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발목 뒤쪽의 욱씬거림이나 발가락 굽히기가 어려운 것과 같은 증상은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골절 부위의 치유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을 배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상태를 평가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예: MRI)를 통해 아킬레스건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Q1의 이런 정황만 가지고 아킬레스건의 파열이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발목이 꺽이는 상황 이외에도 강한 장딴지 근육의 수축에 의해서도 파열될 수 있으니까요.

    Q2 이야기하신 증상들중에 아킬레스건의 파열을 의심할만한 증상은 없습니다.

    완전 파열이 되었더라면 진찰상에 쉽게 보였을거고 불완전 파열인경우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