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유리는 어떠한 원리로 투명하게 만드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사물들은 자기만의 색상을 가지고 있는데 유리는 어떠한 원리로 제작이 되기에 투명하게 유지가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리가 투명하게 유지되는 원리는 그 구조와 균일한 조성에 있습니다. 유리는 주로 균일하게 녹여진 실리카와 다른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균일한 구조로 인해 빛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유리 제조 과정에서 공기 포함이나 불순물을 최대한 배제하여 깨끗하고 균일한 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고온에서 유리를 녹이고 천천히 냉각시키는 과정이 반복되어 유리 내부의 결정이나 공극을 최소화하여 투명성을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리가 토명한 이유는 원자 구조가 비정질의 형태로, 짧은 범위에서는 규칙적이나, 넓은 범위에는 불규칙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빛이 내부를 통과할때 빛이 산란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가시광선이 유리 원자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이 둘간의 상호작용이 최소화 하여 통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으로 유리가 투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유리가 투명한 이유는 빛이 반사되지 않고 통과되기 때문입니다.

    물체가 색깔을 띄고 있다는건 해당 색깔의 파장을 반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리는 고체이지만 액체처럼 분자구조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배열이 무질서한 상태 입니다.

    그래서 빛이 들어올 경우 이러한 무질서한 상태 때문에 가시광선은 전부 통과 됩니다. 그래서 투명해 보이는 것입니다. 반대로 가시광선보다 더 강한 빛인 자외선은 흡수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리가 투명한 이유는 유리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물질들은 특정한 파장의 빛 만을 흡수하고 나머지 빛은 반사하거나 산란 시킵니다 이에 반해 유리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거의 흡수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기 때문에 투명하게 보이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