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샘염 타액선염관련해서 귀밑침샘

2021. 03. 29. 22:40

한 5년전쯤에 귀밑?귀뒤?쪽 침샘이 부어서
이비인후과랑 류마티스내과를 가서 타액선염 진단을 받았었는데

그당시에 이비인후과약은 크게 효과가없었고 (소염진통제랑 항생제를 줬던걸로기억합니다)
류마티스 내과에서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니깐
붓기가 많이빠졌습니다
근데 이게 너무 오래복용하면안좋다길래 2년정도후에
복용을 중지하고

생활패턴을 제대로지키고 사니깐 자연스래 붓기가 안올라오더라고요 가끔 컨디션나쁠때만 살짝올라오고 (한2년정도?)

그리고 올해부터 생활패턴이 조금 꼬여서 살짝 붓기가 올라오다가 한 두달전쯤에 컨디션이 확나빠졌던적이있었는데 그때부터

붓기가 예전에 스테로이드먹기전처럼 붓기시작하고
빠지질않네요
면역력에 좋다는 프로폴리스도먹어보고
생활패턴도돌려보고했는데

이비인후과를 가면 소염진통제나 항생제말고는 처방약이없나요?
혹은 얼음찜질같은걸 해봐도될까요?

정확한증상은 오른쪽 귀밑? 귀뒤?침샘이 붓고
그당시에 조직검사나 여러검사는다해봤습니다
수술을 하더라도 다시 재발을하고

눌러봐도 통증이 딱히없어서 수술같은건않했었는데
누르면 뚝소리나고하네요

통증이 따로없으면 침샘암까지는 않가죠?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목동안치과의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타액선염은 구강내 타액을 배출하는 관의 출구가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이 되어서 발생합니다.

만약 그런문제라면 식사을 하신다음 칫솔질과 치실을 이용해 구강위생을 깨끗하게 해보시고

스케일링과 잇몸치료를 통해 잇몸에 염증을 줄여보세요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2021. 03. 30. 15:2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침샘염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원인은 크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타석 혹은 침샘의 배출량 감소 혹은 저류에 의한 물리적 폐쇄로 인한 염증으로 구분됩 니다.

    1)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타액선의 감염을 흔히 유행성 이하선염 혹은 볼거리라 합니다.

    세균에 의한 감염은 화농성 침샘염으로 불립니다. 대개 수술이나 만성 질환에 의한 탈수로 인해 발생합니다.

    만성적으로 침샘의 배출 능력이 저하되면 만성적인 침샘염이 발생합니다.

    2) 타석이 침샘관을 막으면 침샘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이 밖에도 동위원소 치료의 부작용이나 침샘의 종양으로 인해 침샘관이 눌리거나, 자가면역 질환에 의해 침샘 염증이 반복되기도 합니다.

    4) 충분한 수분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스트레스로 인해 침샘이 부어오를 수도 있습니다.

    2. 침샘염의 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평소 증상이 없을 때에는 침의 흐름이 유지되도록 충분하게 수분을 섭취합니다.

    구강 내의 감염 병소가 침샘관을 타고 침샘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양치, 가글 등으로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2) 증상이 생기면 그 원인에 따라 치료합니다.

    감염 혹은 탈수가 원인이라면 침샘의 타액 분비를 원활히 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타석이 원인인 경우에는 침샘의 분비가 늘어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수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3) 증상의 완화를 위해 냉습포 등으로 환부에 마사지를 해주고 소염제 등을 사용합니다.

    세균성 감염에 대해서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타석의 경우에는 크기가 작다면 저절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크기가 크다면 수술이 대개 수술이 필요합니다.

    2021. 03. 29. 23:59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