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시계에 야광도료는 어떤 과학적 이유로 빛이 나는지요?

평소에는 잘 몰랐는데요. 캄캄한 밤에 손목시계를 보면 시계안이 밝게 빛이나던데요. 이렇게 시계등에 사용되는 야광도료는 주위가 어두워지면 왜 빛이 나는지 과학적 이유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광도로는 빛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성분을 가지고 있읍니다. 따라서 빛을 축적했다가 발광을 하게 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계에 사용되는 야광 도료(혹은 루미네스 도료)는 주로 라디오백토리움(Radium)이나 이트륨(Yttrium)과 같은 방사성 물질을 함유하는 도료입니다. 이러한 도료는 시계의 시간 표시나 시계 초침, 숫자 등에 사용됩니다.


      야광 도료의 원리는 방사선 활성 물질이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주변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현상에 기반합니다. 이 활성화된 물질은 일정 시간 동안 빛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인공적으로 활용하여, 시계가 빛에 노출되면 그 빛을 흡수하고 나중에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방출함으로써 시계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방식은 시계가 밤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도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루미녹스(LumiNova)나 슈퍼 루미노바(Super-LumiNova)와 같은 브랜드에서 개발한 비 방사선적인 형태의 야광 도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발광 도료에는 특정 에너지 저장 발광 물질 활성 알칼리 토류 알루미네이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자체적으로 광 저장 및 발광의 특정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빛 아래에서 빛 에너지를 저장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저장된 빛 에너지를 방출하여 빛나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방식은 축광이 있고, 화학적인 매개로 이루어집니다. 빛을 받고나서 불을 끄면 빛을 희미하게 발하다가 서서히 어두워지는게 특징. 일반적인 야광이 이런 식이죠. 보통 스트론튬화합물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현재는 도료 형태의 고휘도 야광이 필요한 경우 신소재인 '슈퍼 루미노바'사용합니다.

      다소 고가인 관계로 고급 시계류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죠. 다만 몇몇 브랜드를 통해 중저가의 시계에도 도입되었다고도 합니다. 기존의 야광도료에 비해 상당히 밝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국 축광 방식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빛을 받지 않으면 금방 어두워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