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율표에서 118번 이후로 발견가능할까요?
주기율표에서 118번 원소 이후로 더 발견이 될 수가 있을까요?
118번 원소인 오가네손도 입자가속기를 오랜 시간 돌려서 짧은 기간동안만 검출된 중원소라고 하는데,
이보다 더 무거운 119번, 120번 등의 원소가 추가적으로 발견되는게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주기율표에 배열된 118개 원소 중 1번 수소부터 92번 우라늄까지는 자연계에서 발견됐습니다. 나머지 26종의 원소는 가속기가 개발된 후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렇게 가속기는 70여 년의 역사를 통해 노벨상 과학 분야 수상자의 약 20%를 배출하며 세계 기초과학의 중추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초과학 강국들의 이런 치열한 가속기 경쟁의 움직임 속에는 주기율표의 119번째 새 원소에 당당히 ‘코리아늄’을 올리고자 하는 대한민국 과학계의 분투도 포함돼 있습니다. 가속기 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한 우리나라는 1990년대 포항 방사광가속기를 시작으로 경주 양성자가속기, 부산 중입자가속기 등의 중소형 가속기를 운영하며 가속기 강국의 청사진을 그려왔습니다. 그 결정판이 현재 건설공사가 한창인 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시설 ‘중이온가속기 라온’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모즐리는 43과 61인 원소들이 당시까지 발견되지 않았음을 보였는데, 43번 원소는 멘델레예프가 에카-망가니즈라 부른 테크네튬(Tc)으로 1937년에 발견되었고, 61번 프로메튬(Pm)은 1945년에 인공적으로 합성되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이후 시보그(Glenn Seaborg)가 악티늄족 원소들을 발견하고 1945년에 이들을 주기율표 아래의 란타넘족 원소 밑에 두는 것을 제안하여 채택됨으로써 현재의 주기율표가 되었으며, 여기에는 지금까지 발견된 118번 원소까지가 모두 배치됩니다.
1945년 이후로 아직까지 발견된 원소는 없지만, 미래는 모르는거죠~
네 가능합니다.
주기율표에 있는 원소들은 인간이 발견한 원소들입니다.
인간이 발견하지 못한 원소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충분히 이후 원소가 추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