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이 상장되려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나요?
현재 무료로 채굴이 가능한 코인들중에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는 코인들이 너무 많은데다가 시간도 엄청 오래걸려서 그만큼 상장되기가 어려운가 싶어서 물어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각 거래소마다 자체의 상장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문제없어야 하며 백서 등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계획이나 실행 방향도 있어야 합니다.
또한 중요한 수요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장성을 높게 평가합니다. 법적 규제에도 맞아야 하며 이를 충족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일 수 있어 아무 코인이나 상장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김치코인이 신규로 상장된 케이스는 거의 없습니다
작년에 있었던 가상자산 보호법이 만들어지면서 상장폐지 요건도 강화되었고 이를 신규로
상장하는 것은 더욱 힘들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신규코인이 발행되는데 이는 외국에서 국내 거래소에서도
거래를 할 수 있게 되면서 거래가 되는 케이스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상장 절차는 거래소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소의 사전 심사
거래소에 코인을 상장하려면 기본적인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거래소는 상장 신청을 받은 코인의 프로젝트 팀, 기술적 신뢰도, 보안성, 법적 요건 등을 면밀히 검토합니다. 거래소마다 심사 기준이 다릅니다.
백서 및 기술 검토
백서는 프로젝트의 목표, 블록체인 기술, 사용 용도, 토큰 경제(토크노믹스)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백서가 명확하고 투명하게 작성되어야 합니다.
법적 검토 및 규제 요건 충족
각 나라의 금융 및 가상자산 규제에 맞춰야 합니다.
기술적 통합 과정
거래소에 상장하려면 해당 코인이 거래소의 기술 인프라와 호환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통합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면 상장 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코인이 상장 되기 위해서는 기술성, 프로젝트 신뢰도 그리고 팀 구성, 유통 구조와 법적 문제 등 다각도의 심사를 거쳐야 합니다. 거래소마다 요구 기준이 다르고 특히 중대형 거래소는 보안성과 커뮤니티 활동, 실사용까지 확인 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