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리에 드는 것을 거부하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이가 시간에 늦었는데 잠을 자려고 하지를 않습니다. 이런 저런 핑계를 대면서 잠자리를 거부하는데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정한 취친 루틴을 만들고, 잠들기 전 차분한 활동을 하세요. 이야기 시간을 추가해 안정감을 주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잠자리를 거부하는 이유는
놀이가 부족해서 입니다.
아이는 현재 놀이에 대한 만족도가 자신의 양에 차지 않아서 놀이를 더 하고 싶은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잠을 안잘려고 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잠을 거부한다면 단호하게 지금은 밤잠을 자야 하는 시간이지 놀이를 하거나 잠을 안 자자고 버티는 시간이 아니야 라고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밤잠을 자야 하는 시간에는 밤잠을 자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와 잠자기 전 루틴을 정해서 실천하면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고 점차 잠자리에 들 수 있습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아이와 대화를 나누어 안심시켜 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정해진 시간에 취침하는 것은 습관을 통해 익숙해져야하는 것입니다. 취침시간이 늦어지면 기상시간에도 영향을 받고 그다음날의 생활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치므로 타협대상이 아닌 규칙으로 받아들이도록 해야할 것 입니다. 그리고 아이가 낮잠을 잔다면 그시간도 조절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낮시간 신체활동양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낮잠을 너무 늦게 자지 않습니다.
그리고 항상 정해진 시간에 잠을 자고 일어 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주말이라고 늦잠을 자거나 늦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잠을 자기 전에는 격한 활동이나 미디어 시청으로 인해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수면에 도움을 주는 목욕이나 책 읽기가 좋습니다
조용한 음악 듣기를 통해서 수면을 도와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잠자리에 드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는 일상적인 현상일 수 있으며, 특히 자기 전에 자극적인 활동을 하거나 자기만의 시간을 갖고 싶은 욕구가 강한 아이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아이가 잠자리를 거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나이와 성격, 일상적인 루틴 등이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아이들이 하루 동안 부모와의 시간이나 혼자서 놀 시간을 충분히 가지지 못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잠자기 전에는 자기만의 시간을 갖고 싶어 하거나, 부모와의 대화를 원할 수 있습니다. 어두운 곳이나 혼자 자는 것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상 속의 괴물이나 불안한 감정이 아이를 잠자리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잠자기 전에 너무 자극적인 활동은 피하고, 아이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맞춰주세요. 예를 들어, 조명을 낮추고, 따뜻한 음료를 제공하거나 부드러운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책 읽기나 대화로 차분히 하루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잠자리에 드는 것을 거부하는 아이는 이러한 부드러운방식으로 다뤄주시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잠자리에 대한 거부를 해결하려면 일관된 취침 루틴을 만들고 잠자리 시간이 다가오면 차분한 활동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는 일정한 루틴에 익숙해져야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도록하고 잠자기전에는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힐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것이 좋아요 이 루틴이 반복되면 점차 수면시간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잠자리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안이 있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가필요합니다
아이가 무엇을 걱정하는지 들어보고그 불안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예쁜침대,좋아하는 인형등을 통해서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