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단호한허스키169
단호한허스키169

뇌출혈환자인데시신경회복이가능한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
기저질환
뇌출혈
복용중인 약
경기약

뇌출혈8년차환자인데 시신경이 점차짧아져서하루18시간~20시간씩사용하던스마트폰16시간미만으로사용하고1미리담배를피우다가0.01미리이오니아로바꾸고수면도 훨씬 잘하고있습니다.생활패턴을 건강하게바꾸고있고 한약도시신경에좋은 탕약을지어먹고있습니다. 고대병원에서는 개선될수는없고유지를 목적으로 해야한다는데 기적과같은일을 바라는데 가능성이 단1%라도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나이가 젊을 수록 뇌출혈, 뇌경색으로 인한 후유 장애는 재활 치료를 통해

    개선이 가능한데 완전한 회복은 어렵다고 해도 80% 이상 개선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의지와 노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산소 및 근력

    운동을 반복적으로 유지하여 해당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뇌출혈 후 시신경 손상이 발생한 경우, 회복 가능성은 매우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시신경은 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손상이 발생하면 스스로 재생되는 것이 어렵습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손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수도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자분이 언급한 대로 생활 습관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것은 분명 도움이 됩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흡연을 대체하는 방법을 찾으며, 수면의 질을 높이는 등의 노력은 전반적인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약 복용이 시신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개인의 상태에 따라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또한, 기존의 치료 계획을 유지하고 변화시킨 생활 습관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것은 현재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고대병원에서 들으신 것처럼, 시신경 손상의 경우 개선이 어렵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지만, 질문자분이 간절히 원하는 바와 같은 작은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희망을 갖고 꾸준히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다만, 과학적으로 검증된 치료 방법과 병원의 조언을 중심으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