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운좋은도롱이144
운좋은도롱이14422.10.30

이순신장군의 가장 큰 없적은 무엇인가요?

이순신 장군은 우리나라의 위대한 인물중하나입니다 특히 미진왜란등 일본과의 전쟁에서 그 업적이 대단한데 가장 큰 업적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정유재란 기간 동안 해상을 지켜내며

    일본의 보급을 끊고 추가 병력을 차단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이 일본에 점령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 옥포해전(1592년 5월 7일) / 한산도대첩(1592년 7월 8일) / 명량대첩(1597년 9월 16일) / 노량대첩(1598년 11월 19일)이 있죠.

    처음으로 출전한 전투인 옥포해전. 철저한 계획으로 경상우수사 원균의 부대와 합세해서 일본의 배 26척을 무너뜨렸습니다.

    이후 한산도 대첩이 발발. 좁은 견내량에서 싸우기가 힘들다고 판단. 배 5척으로 적을 한산도 앞바다까지 유인해서 싸웠습니다. 학이 날개를 펼친 듯 배를 배치한 '학익진'전술로 일본 수군에 대승을 했습니다. 영화로 나왔죠?

    그 유명한 명량대첩. 13척의 배로 울돌목을 통해 명량해협으로 들어온 일본 배 133척을 상대해 승리를 거둔 전투입니다. 이후 전라도 지역에 있던 일본군이 500여 척의 배로 조선을 빠져나가려 했습니다. 총공격을 진행한 이순신은 450여 척의 배를 격파. 이날 일본군을 추격하던 이순신 장군의 왼쪽 가슴에 적의 총탄을 맞고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는 말을 남기고 전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업적입니다

    한산도대첩: 왜군을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해 학익진으로 왜선 110여척을 격침, 1만여명의 적군을 전사시킨 전투


    명량대첩: 1597년 9월 16일 12척의 배로 133척의 왜선과 맞서 싸운 전투로 이순신장군은 왜군을 울돌목으로 유인하여 120여척을 격침하고 승리한 전투입니다


    노량대첩: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이며 1598년 11월 19일 도망치는 왜군을 쫓아 노량에서 치뤄진 전투입니다

    왜군의 배 500여척 중 400여척을 격침하고 대승을 거두었지만 전사하셨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업적은 한산도에서, 명량대첩, 노량해전과 거북선 그리고 난중일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대표적인 업적은 정유재란때인 1597년 삼도수군통제사의 직책

    을 수행하면서 진도 울돌목에서 13척의 배로 133여 척의 왜군에 압승을 거둔 명량해전이 가장 큰 업적 중에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이 전투로 인해 정유재란의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전투가 대단한건 당시 임금인 선조는 수군의상황이 어렵다는 걸 알고 수군을 육군으로 편입해 육상전을 펼치도록 명령을 내렸으나 이순신 장군은 선조에게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으므로 승전할수 있다라고 확신하며 끝까지 해전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의 발생부터 노량해전에서 전사하기 전까지 기록이 남긴 ‘난중일기’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2014년 한국 갤럽이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이순신 장군은 또한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1592년) 당시에 육지에서는 왜구의 파죽지세 공격으로 수도인 한양이 함락되고 선조가 피신할 정도였는데 해상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지략과 지혜로 왜구를 꼼짝달삭 못하게 했다는 점에서 대단한 영웅이시라고 생각합니다. 명랑해전 한산도대첩 등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하고 왜구에게 엄청난 타격을 가했던 거북선을 나대용장군에게 지시하여 만든 것은 신의 한 수였다고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