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창백한숲새157
창백한숲새157

비말감염과 공기감염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궁금합니다!! 정확힌 기준이 있을까요?

대학교 교수님마다 코로나는 공기감염이다. 비말감염이다. 의견 차이가 나서 궁금증을 가라앉히질 못하고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도도한곰219
      도도한곰219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말감염과 공기감염 둘다 가능합니다. 비말감염은 침이나 체액을 통한 감염을 의미하며 공기 감염은 공기중 에어로졸 형태로 분포해있는 바이러스가 감염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말감염 예방을 위해 마스크착용을 잘 하고 실내인 경우 환기를 수시로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비말감염은 감염자가 기침·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의 입, 코로 들어가 감염되는 형태입니다. 비말 크기는 5㎛(1㎛=100만분의 1m) 이상이며, 기침을 한 번 하면 약 3000개의 비말이 전방 2m 내에 분사됩니다. 그래서 비말감염을 피하려면 감염 위험이 있으면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며, 기침은 팔에 하는 등 기침 예절을 지키는 게 좋다. 또한 감염자로부터 2m 이상 떨어지는 게 그나마 안전합니다.

      공기감염은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타인이 공기를 흡입할 때 호흡기로 감염되는 형태입니다. 바이러스가 있는 입자가 5㎛ 보다 작을 때 가능합니다. 전염력이 커 최대 48m 떨어진 사람에게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기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감염을 침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감염자의 재채기나 기침 등으로 침방울(비말)이 바이러스 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의 코와 입으로 들어가서 감염이 되며, 비말이 튈 수 있는 범위(2m) 거리 두기와 비말이 침투 못하도록 입과 코를 가리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감염 예방을 합니다.

      공기감염은 주로 작은 바이러스 입자들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전파를 일으키게 됩니다.

      비말 감염의 대표적인 예로는 독감이 있으며, 공기감염은 홍역, 결핵, 수두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 감염이 되는 질환도 침방울을 통해 몸 밖으로 나올 경우 그 자체가 타인의 코와 입으로 들어가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결핵은 비말 감염도 가능합니다. (바이러스를 가진 침방울이 공기 중으로 나와 수분이 다 없어지게 되어 공기 중으로 돌아다니게 되면 그것이 공기감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주로 비말 감염이어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으로 예방을 하고 있고,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서 살아서 수시간 돌아다니며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해서 공기 감염도 일부 있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은 공기중에 물방울, 즉 침방울 등을 말합니다.

      따라서 비말감염으로 여겨지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감염의 위험이 있는 것입니다.

      반면, 공기감염으로 생각된다면 훨씬 먼 거리 까지 한 공간에 있다면

      감염의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비말은 작은 물방울 안에 바이러스가 전달되는 방식이고

      공기는 바이러스가 말그대로 공기중에 둥둥 떠다니는 것입니다.

      사람간에 전파되며 대부분은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말하기, 노래 등에 발생한 침방울(비말)에 접촉할 경우 발생합니다.(주로 2m 이내)

      표면접촉, 공기접촉도 가능은 하나 공기전파의 경우 밀폐된 공간과 같은 특정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감염은 침을 통해 바이러스 등이 전파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밀폐된 공간에 있더라도 적정거리(일반적으로 1.5-2미터)를 유지하고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위생을 철저히 하면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공기감염은 공기중에 바이러스가 떠다니며 감염을 전파하므로 등급이 높은 N95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며 보호장구를 완전히 착용하여야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영화에 나오는 감염격리 시설 등이 그 예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감염은 코로나 확진자의 기침을 통해 발생하는 침이나 분비물 등에 바이러스가 섞여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공기감염은 비말 뿐만아니라 비말보다 작은 입자에 들러붙어(예를 들면 먼지 등) 공기에 떠다니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보통 비말감염이 많으나, 공기감염 사레도 있기 때문에 둘다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감염과 공기감염을 쉽게 생각하시면 접촉감염과 간접감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비말감염을 사람과 사람간의 접촉을 통해서 비말을 통해 감염을 하게 되는데

      공기감염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에 의하여 감염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염자가 지나간 다음 공기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성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감염의 경우 타인의 몸에서 발생하는 분비물,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튀어나오는 물방울 같은 입자에 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전파되는 감염을 이야기합니다.

      공기감염은 이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분비물 없이도 공기중에 떠다니면서 감염을 시킬 수 있으며

      감염 반경 범위도 50m 정도로 굉장히 넓습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는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되거나 비말 감염등을 통해 전파되는 직접 감염 경로 형태를 많이 보이나

      공기감염과 같은 간접 감염 경로도 보고되고 있어 2가지 감염 경로로 다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공기감염이나 비말감염 모두 다 원리는 동일합니다.

      비말감염이 좀더 맞는 말이라고 보여집니다.

      침방울에 있는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퍼지는 것을 의미하기에,

      확진자가 왔다간 자리의 공기 중 에는 비말이 떠다닐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비말감염이 주된 전파 경로지만 공기감염도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 옳은 견해입니다.

      비말감염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비말, 즉 콧물과 침 등의 분비물을 통해서 전파가 되는 것이며, 공기 감염은 공기 중에 바이러스가 퍼져있는 것을 호흡기로 흡입하여 감염이 되는 것입니다.

      비말감염이 주된 전파 경로이며 절대 다수의 환자는 비말을 통해서 감염이 되지만 이론적으로 공기 감염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말감염은 droplet이라고 하는 보이지 않는 미세한 침방울에 바이러스가 함유되어 있는것이고 kf94마스크로 100프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에어로졸은 공기중에 바이러스 입자가 떠다니는 현상으로 마스크로 예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실험적으로는 에어로졸 감염이 가능하나 중환자실등이 아닌 일반 환경에서는 일어날 가능성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성모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공기감염은 말그대로 공기를 통해 감염되는 것이고 비말감염은 비말을 통해 감염되는 것입니다.

      공기감염이라면 호흡만으로도 감염이 될 수 있고 비말감염이라면 비말을 통해서 감염이 이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