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은 테마주를 타야하는 걸까요?
한국 주식은 장기투자보다 테마주(2차 전지, 바이오) 같은 것들로 투자를 하여 돈을 번다고 들었습니다. 이것이 정말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 단기간에 크게 주목받는 건 대체로 테마주인 경우가 많습니다. 2차 전지나 바이오처럼 스토리가 붙으면 급등락이 심하고, 운 좋게 타이밍을 잡으면 큰 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테마주는 변동성이 워낙 커서 반대로 손실도 빠르게 올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기업 실적과 펀더멘털이 결국 주가를 좌우합니다. 그래서 단타로 노리는 투자자들에겐 테마주가 익숙할 수 있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개인 투자자라면 분산 투자와 실적 기반 종목을 중심에 두는 게 훨씬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는 테마주가 큰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정 재료나 뉴스 등에 의해서 주가가 움직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테마주에 편승해서 수익을 보는 것이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급등 후 급락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테마주 보면 가끔씩 유혹이 심합니다. 분위기 한번 타면 몇 배씩 오르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근데 웃긴 건 그만큼 빠지는 속도도 진짜 빠릅니다. 제 판단으로는 장기적으로 안정된 수익을 원하면 테마주 올인보다는 분산투자가 맞다고 봅니다. 테마주는 말 그대로 흐름을 타는 거라 운이랑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반면 장기투자는 기업 실적이나 펀더멘털을 보면서 버티는 거라 안정성이 있습니다. 한국 시장 특성상 단타성 테마주에 돈 몰리는 게 자주 보이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