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면..
기후변화로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면 우리나라 땅은 얼마나 바다물에 침수가 될까요?
이런 재앙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동안 대책을 세워서 바닷물을 막는 보 같은걸 세우든가 해서
삶의 터전을 지켰으면 좋겠습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빙하가 다 녹을 확률은 1만년 후에나 가능하다는 설도 존재합니다.
사실상 지구상에 존재하는 빙하의 98%는 남극대륙에 존재 합니다.
이것이 다녹을경우 지구전체 해수면의 높이는 약60M 상승한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좀 높은 언덕 빼고는 다 바다가 되고, 한반도 또한 1/4 은 바다가 될것으로 봅니다.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의 어깨까지 물이 찬다고 합니다.
이 상태면 학계 에서는 2100년에 현재보다 해수면 높이가 15~25CM 높아 질 거라고 예상하는데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더 빠른속도로 높아 질것이라 예상 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빙하가 녹을시 예상지도 입니다. 서울,부산을 포함하여 한반도 서쪽은 절반이 없어지네요.. 중국은 동쪽이 아예 없어지구요.. 참고하세요...
현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녹게 될 때,
전 세계의 해수면 높이는 평균 58m이상 높아지게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북극과 남극을 나눠서 말해보겠습니다.
북극의 얼음은 모두 녹더라도 해수면 상승은 거의 없습니다. 이유는 북극은 육지가 아닌 북극해, 즉 바다이고 북극의 얼음은 바다위에 떠있는 얼음입니다. 컵에 얼음을 채우고 물을 붓고 얼음이 모두 녹아도 컵의 물이 넘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남극은 대륙이기 때문에 남극의 얼음이 모두 녹으면 해수면은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육지에서 새로운 물이 바다로 보충되기 때문인데요, 현재 추정하는 바로는 남극의 얼음이 모두 녹으면 해수면은 약 65m정도가 상승할 것으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경우 주요 생활권은 모두 침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상 지금의 달동네가 해안선과 만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