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아리따운두견이185
아리따운두견이18520.12.15

부윤관사가 무엇을 뜻하는 말인가요?

전국적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유명한

지역에 가보니까

옛날에 부윤관사였던 건물이라는

표기가 있었습니다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윤관사는 일본인 개인 가옥일 뿐

    부윤관사란 일제강점기 '부'라는 행정구역을 총괄하던 부윤(현재의 시장)이 살던 관사라는 뜻으로 군산부윤관사(이후 군산시장관사)라면 흔히 월명동 클래시움 아파트 밑 일본식 가옥(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이정도면 답변이 될려나 모르겟어요 구글검색하긴햇는데 ㅎㅎ


  • 전국적 으로 도시 재생 뉴딜사업 으로 유명한 지역에 가보니까

    옛날에 부윤관사 였던 건물 이라는 표기가 있었습니다

    무엇 을 뜻하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질문을 주셨는데요.

    부윤관사 란 일제 강점기 ‘부’ 라는 행정구역 을 총괄 하던

    부윤 (그때당시로 볼때 시(市) 이면 시장) 이 살던 관사 라고 보면 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부윤관사는 전형적인 일본풍 건물로

    1966년 새 인천시장 관사(현재 인천 역사자료관)이 세워지기 전까지 인천시장의 관사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남겨놓고 간 일본 적산 가옥들이라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

    광복 후에 일본인들이 남겨 놓고 간 주인없는 적산가옥들을 서로 차지하겠다고 해서

    국가에서 민간에게 팔았다고 합니다


  • 1.부윤관사의 의미 : 고려.조선시대의 지방관청인 부(府)의 최고 지도자인 부윤(府尹)이 임기중 살던 집으로

    1).부(府)는 지방관청인 부(府), 윤(尹)은 다스릴 윤 즉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자를 부윤(府尹)이라 하며

    관사(官舍 )는 관리가 살도록 관청에서 지은 집을 의미

    2. 부(府) 를 설치 한곳

    1). 고려시대 :평양부. 한양부.경주부.

    2) 조선시대 : 한양부... 경도(수도)로 승격 , 전주부, 함경도 영흥부, 평양부,의주부 는 ... 외관직(外官職)으로

    부윤(府尹)이라 부름

    한성부,수원부.광주(廣州)부. 개성부. 강화부... 경관직(京官職: 수도 관할직책)으로

    판윤(判尹) 혹은 유수(留守)라 부름

    3. 부윤(府尹) 제 의 변천 ( 부윤 →관찰사→도장관→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군수)

    1) 1895년(고종 32) 8도제(八道制)를 없애고 전국을 23개의 부(府)로 나누어, 부윤제를 없애고 관찰사가 府의

    長이 되었다.

    2) 1896년 8월 23개府를 폐지하고 전국을 13도 9부(한성府 외 8府) 339군(郡)으로 변경 한성부는 판윤 , 다른

    府는 부윤이라 함 .. 이후 1905년 한성 판윤도 부윤이라 함

    3) 1910년 국권피탈 뒤 13도의 관찰사를 없애고 도장관(도지사)이라 고쳤으나, 종전의 부윤은 존속시켜 12개

    부윤을 두었다. (경성.부산.대구.평양.인천.마산.군산,원산,신의주.청진.목포.진남포)

    4) 대한민국 건국 (1948년)뒤에는 부윤을 시장이라 불렀고, 현재는 특별시장 ·광역시장(廣域市長) 등으로 구

    분하고 있다.


  • 부윤이란 조선시대 지방관청 우두머리

    종2품 문관의 외관직(外官職)으로, 관찰사와 동격이다. 경상도 경주부(慶州府), 전라도 전주부(全州府), 함경도 영흥부(永興府:뒤에 咸興府), 평안도 평양부(平壤府), 의주부(義州府)에 두었다. 이 밖에 한성부 ·수원부 ·광주부(廣州府) ·개성부 ·강화부의 장은 부윤이라 하지 않고 판윤(判尹) ·유수(留守)라 하였으며, 외관직이 아닌 경관직(京官職)이었다. 1895년(고종 32) 8도제(八道制)를 없애고 전국을 23개의 부(府)로 나누어, 부윤제를 없애고 관찰사가 부의 장이 되었다.

    부윤관사란 우두머리 관사입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