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단단한금조151
단단한금조151

주식 투자에서 '손절매'는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다들 주식으로 많은 수익을 내고 계신지요?

자신이 매수한 주식 가격보다 가격이 하락 할 때 손절매 하라고 하잖아요.

근대 저의 경험으로는 떨어질 때 손절매 하는 것은 너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주식 고수분들께서는 손절매를 어떻게 하고 계신지 궁금 합니다.

저와 같이 주가가 하락한 주식은 장투로 내버려 두시나요?

주식투자 초보자들이 손절매를 잘 할 수 있는 기계적인 규칙 같은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손절매를 할 수 있어야 오랜 기간 주식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 특히 주식을 투자하면서 아무리 투자에 귀재라고 해도 손실은 볼 수가 있습니다

    • 따라서 주식별로 기대 수익율이 있을텐데 그 기대수익보다 조금 못미치는 비율 만큼을

      손절하는 단가로 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10%의 수익을 기대하고 진입했다면 손절은 약 8% 하락했을시 매도를 하고 있습니다

    • 그런식으로 개인 원칙을 세우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주식을 오랜기간 보유하게 되고

      기도를 하게 되는 투자 방식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매는 처음 매수할때부터 정하고 들어가야 합니다 문제는 대부분 일반투자자는 매수만 정하지 손절매나 매도 원칙이 명확히 없습니다

    그리고 이 손절매는 처음 매수스타일이 10프로 수익내는 단타라면 손절매다 이 범위내로 이루어지는것이며 장기투자시 밸류에이션을 보고 들어가는거라며 해당 밸류에이션 훼손 예를들어 방산기업의 투자를 하고 이는 유럽의 방위비지출과 이로인해서 국내기업의 가성비수주가 증가하는 시나리오인데 이 부분에서 유럽기업이 자신들도 가성비수주를 증가하고 기조가 바뀌는 신호가 나타나면 미련없이 손절매해야 합니다

    즉 손절매는 스타일에 따라 다 다르게 정해야하고 매수시점부터 명확히 정하고 하는게 기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매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계적인 규칙 역시도 스스로 계획해 놓으실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자신의 투자 계획과 위험 허용 범위에 따라 최대 손실 한도를 설정해서 감정적인 판단이나 과도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데요. 또한, 종목의 차트 패턴, 지표 및 추세를 분석하여 손절매 결정을 내리는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저항선으로 특정 가격대를 설정하고, 이를 돌파하거나 이동평균선을 크로스할 때 손절매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종목의 중요한 이벤트나 뉴스가 발생할 때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서 손절매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장기투자 종목은 손절 없이 추가매입만 합니다 하지만 단기 투자나 중기 투자 목적으로 산 주식은 -20프로 터치하면 30-50프로 수준으로 손절을 칩니다 시드를 지켜야 다음 투자를 할 돈이라고 있는거니까요

    결국 주식은 시드를 얼마만큼 지키면서 수익을 늘려가느냐 차이거든요 그래서 손절도 익절도 잘 해야합니다

    그게 참 어려운게 주식투자긴합니다

    배당주나 삼전같은 주식아니면 국장은 장기투자는 힘든 시장입니다 진입시점부터 익절레벨 손절레벨 정하고 터치하면 기계적으로 매매를 하는게 버릇이 되야 시드가 녹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손절매는 손실을 최소화하고 투자 원금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입니다. 하지만 언제, 어떻게 손절매해야 하는지는 투자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정답은 없습니다. 투자 전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손실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범위에 도달하면 주저 없이 손절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매수 가격의 5~10% 하락을 손절매 기준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동평균선, 추세선 등 기술적 분석 지표가 하락 추세로 전환되거나 지지선이 무너지는 등 악화 신호가 나타나면 손절매를 고려해야 합니다. 기업의 실적 악화, 경영진의 부정적 뉴스, 산업 전망 악화 등 악재가 발생하면 추가적인 손실을 막기 위해 손절매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손절매는 언제, 어떻게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계적으로 적정 퍼센티지가 떨어지면 매도를 해야 하는데

    이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어떤 분은 5퍼센트, 어떤 분은 2-3퍼센트 등

    자신이 정한 수치에서 매도하는 것으로

    로스 스탑 기능으로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을 해야하는 경우들은 본인이 보던 가격선을 깨면 해야합니다. 차트상이나 가치 평가상 이 가격 수준을 깨면 본인의 투자 

    기준선을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손절할줄 알아야 합니다. 또는 다른 상승 종목을

    더 높은 확률로 수익을 얻을 자신이 있을때 손절을 하고 해당 종목으로 넘어가는것도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