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낭성 난소증후군 이었는데 피임약 먹고 규칙적인데요
28살까지 다낭성난소였어서 2년가까이 피임약을 먹고 끊고서 지금 1년째 두 달 주기로 규칙적으로 생리를 하는데요 궁금한게
앞으로 생리가 규칙적이고 amh수치가 정상보다 어리게 나오면
과거 10년동안 생리도 안하고 다낭성난소일때 배란 안됐던 난자들이 세이브 된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난소 안에 있는 난포는 매달 성숙하지만, 다낭성난소증후군의 경우 성숙 과정이 방해받아 배란되지 않고 퇴화하거나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AMH 수치가 높다면 난소 내의 예비 난포수가 많음을 의미하며 과거 PCOS로 인해 배란되지 않았던 난포가 여전히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생리가 규칙적이고 AMH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다면 난소 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과거 배란되지 않았던 난자들이 모두 세이브된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난소 예비력이 더 천천히 소모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겪으셨던 것 같은데, 현재는 피임약을 꾸준히 복용하고 난 이후에 규칙적인 생리 주기를 갖고 계신 것 같네요. 우선, AMH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은 난소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았다는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AMH 수치만으로 난소의 세부적인 상태나 과거 배란되었던 난자들의 보존 여부를 알 수는 없습니다.
과거 다낭성 난소증후군으로 인해 배란되지 않았던 난자들이 '저장'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은 복잡한 문제입니다. 기본적으로 여성은 출생 시부터 일정한 수의 난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생리 주기와 함께 난자가 점차 소멸됩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이 있다면 배란이 불규칙했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배란되지 않은 난자들이 그대로 보존되는 것은 아닙니다. 난자 수는 시간에 따라 자연스럽게 감소하게 됩니다.
현재의 생리 주기 및 AMH 수치가 양호하다면, 난소의 기능은 좋은 방향으로 바뀌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과거에 배란되지 않았던 난자들이 정확히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규칙적인 생리를 유지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집중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