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우리나라도 풍요속 빈곤같은 현상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용어 중 풍요속 빈곤이라는 용어로 부유한 사회가 소비보다 저축을 더 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도리어 빈곤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잖아요~ 근데 우리나라도 풍요속 빈곤같은 현상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빈부격차가 매우 심합니다. 자산격차사 60배가 난다는 통계도 있고요

    지금처럼 어려울때 사과하나 못사서 아우성인 사람도 있지만 백화점 명품관은 품절이거나 더 비싸도 산다고 합니다

    부자들이 돈을 써야 하는데 일반 골목가게에 가지않으니 동네상권은 빈곤해지고, 백화점만 잘되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돈을 쓸수없는 서민들이고요,

  • 안녕하세요 서민들이 느끼기에 풍요속 빈곤 같은 현상은 없지 않았을가 싶어요 어느 시기건 일반 서민들이 살긴 항상 빠듯한게 우리나라잖아요 저축 많이해서 이자 많이 나온다고 사는게 풍요롭진 않겠죠ㅜ

  • 아무래도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부유층에서는 자산증식에 상당히 적극적이지만 소비를 하지 않는 분들도 있는만큼 이러한 것이 풍요 속 빈곤의 현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풍요속의 빈곤이라기 보다는 너무 많은 부채를 통해서 소비를 하다 보니 '푸어' 현사잉 심각한 사회라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하우스푸어나 혹은 카푸어와 같은 사회적 현상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풍요 속 빈곤(poverty in the midst of plenty)란 말은 선진국은 유효수요(그러니까 실제로 사람들이 시장에서 물건을 사는 양)의 부족으로 생산은 풍부함에도 빈곤에 허덕인다는 말이죠. 가장 대표적인 예가 1929년대 미국 대공황시기입니다. 이것은 미국의 공업화에 따른 유례없는 생산략의 증대로 인해서 미국경제에서 총공급(기업의 생산량)이 총수요(국민들이 살 수 있는 양)을 초과하게 되었고, 이로인해 막대한 양의 재고가 쌓이면서 대공황이 일어나게 되죠 그래서 기업이 생산해 내는 양은 많은 데(풍요) 그것을 못따라가는 유효수요때문에 불경기(빈곤)이 발생하게 됩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에서 도래한 경기침체가 풍요속 빈곤으로 보일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도 경제성장과 함께 소득 격차가 커지고 부유층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풍요속 빈곤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소득 분배의 불균형으로 인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지금도 풍요 속 빈곤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사람들이 지갑을 닫고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하고 있으나 오히려 물가 등의 상승으로 만족도가 낮아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음에 따라 현 상황 역시 풍요 속 빈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네, 당장 지금만봐도 과거보다 훨씬 더 부유해 졌음에도 사람들이 풍요 속에 빈곤을 느끼는 것과 같이 행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오히려 소비, 투자를 통해 가치 신장을 시켜야함에도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곳곳에서 목격된다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풍요속에 빈곤은 말씀하신 내용보다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서 모든 가계들이 성장하는 것이 아니고

      최근의 우리나라 산업과 같이 반도체는 크게 성장을 하는 반면 내수시장은 죽어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 특히 GDP성장율을 상향 조정하고 역대급 수출실적을 내고 있지만 국민들은 실제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 이러한 현상은 요즘 더 심화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 추가적으로 말씀하신 저축이 상승하여 경제가 어려워지는 현상은 저축의 역설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