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물로만 있는 행성을 알기 위해선 어떻게 관측과 추정을 하는건가요?

우주에는 물로 즉 액체로 된 행성만 있는것도 발견했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물로만 있다는 행성을 어떻게 관측을 하고 어떠한 분석을하여 추정을 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물로만 이루어진 행성을 관측하고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요. 먼저, 망원경과 위성을 사용하여 우주의 다양한 지역을 관찰하고, 행성의 표면을 촬영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행성의 크기, 형태, 온도 등을 알아낼 수 있어요.

      그리고, 행성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행성의 구성 요소를 알아낼 수 있고, 행성의 자전속도를 측정하여 질량을 추정할 수 있어요. 이를 통해 행성이 물로만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주 탐사 장비를 사용하여 행성의 지표를 탐사하고, 행성의 대기를 분석할 수도 있어요. 이를 통해 행성의 환경과 구성 요소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우주의 미지의 많은 행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와 탐사가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스펙트럼 분석: 행성의 대기권에서 물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행성 주변의 빛을 분석하고, 물의 흡수 선들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이 풍부하게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광학적 관측: 물은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행성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광학적으로 관측하여 행성의 표면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성의 표면에 바다나 호수와 같은 물 특징이 관측되면 물로 이루어진 행성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습니다.

      3. 대기 조건 분석: 물로 이루어진 행성은 대기 조건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기의 조성, 온도, 습도 등을 분석하여 물의 존재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증기와 구름의 존재는 행성의 대기에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4. 행성 모델링: 물로 이루어진 행성을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행성 모델링도 사용됩니다. 이는 행성의 질량, 크기, 온도, 밀도 등을 고려하여 물의 상태와 분포를 예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물로만 이루어진 행성, 즉 액체수소 행성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행성은 적외선을 통해 관측이 가능합니다. 적외선은 물과 같은 액체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적외선 관측을 통해 행성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행성의 표면 온도가 매우 높다면, 이는 행성이 물로 이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하여도 액체수소 행성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중력렌즈 효과는 빛이 중력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으로, 먼 곳에 있는 별빛이 가까이에 있는 천체의 중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망원경으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액체수소 행성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행성의 질량이 지구의 질량보다 크다면, 이는 행성이 물로 이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바다행성이라고도 하는데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외계 행성들의 표면에 있는 물을 직접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대기 중의 수증기를 물의 존재를 추정하는 증거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