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풋콜패리티가 어긋나는 상황에서는 어떤 일이 생기나요?

콜옵션의 가격과 행사가격의 현재가치의 합과 풋옵션의 가격과 주식의 합이 같다는 등식이 풋콜패리티인데요. 만약 식이 성립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풋콜패리티가 어긋나면 차익거래 [arbitrage] 기회가 발생합니다.

    투자자들은 저평가된 자산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자산을 매도해 무위험 이익을 얻습니다.

    이로 인하여 시장은 빠르게 균형을 회복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풋-콜 패리티(Put-Call Parity)는 옵션 가격의 균형을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입니다. 이 등식이 어긋나는 상황에서는 차익거래(arbitrage) 기회가 생기며, 시장 참여자들은 이를 이용해 무위험 이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은 곧 균형 상태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풋-콜 패리티 공식:

    C + PV(K) = P + S

    : 풋옵션 가격

    : 기초자산(주식)의 현재 가격

    : 옵션의 행사가격

    : 행사가격의 현재가치 (할인된 미래 현금 흐름)

    ---

    풋-콜 패리티가 어긋나는 상황:

    풋-콜 패리티가 어긋난다는 것은 위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즉:

    C + PV(K) \neq P + S

    ---

    1. 콜옵션 쪽이 과대평가된 경우 ()

    1. 풋옵션을 매수 ()

    2. 콜옵션을 매도 ()

    3. 주식을 공매도 ()

    4. 행사가격 를 현재가치로 투자 ()

    결과적으로 차익거래자가 무위험 이익을 확보합니다.

    ---

    2. 풋옵션 쪽이 과대평가된 경우 ()

    1. 콜옵션을 매수 ()

    2. 풋옵션을 매도 ()

    3. 주식을 매수 ()

    4. 행사가격 에 해당하는 현금을 조달 ()

    이 경우에도 투자자는 무위험 차익을 얻습니다.

    ---

    차익거래 결과:

    투자자들이 차익거래를 지속적으로 실행하면, 옵션 가격과 기초자산 가격이 조정되며 풋-콜 패리티가 다시 성립하게 됩니다.

    즉, 차익거래 기회는 일시적이며, 효율적인 시장에서는 이 과정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

    결론:

    풋-콜 패리티가 어긋나는 상황은 시장의 비효율성을 나타내며, 차익거래를 통해 곧바로 수정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거래비용, 유동성, 금리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완벽한 차익거래를 실행하는 데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이 크지 않은 효율적인 시장에서는 풋-콜 패리티가 거의 항상 유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