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07

한국 경제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

최근 부동산관련 정책이 많이 나오는데 한국 경제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정도이길래 부동산값이 떨어지면 신속하게 대책을 내놓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가계의 자산구성에서 65%에 육박하며

    금융자산은 35% 수준인 등 이에 따라서 부동산 차지비율이

    엄청나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약 70% 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 하락은 소비심리 위축 및 금융시장 불안 등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가까이 주변 친구, 지인들만 보셔도 아시겠지만 가계 자산의 거의 60~70%는 부동산입니다. 따라서, 부동산 값이 떨어지게 되면 소위 이들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게 되고 전반적으로 경제 성장률의 저하 및 경기 위축을 피할 수가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가계 총자산 중 ‘거주주택 외 부동산’ 비중이 높습니다. 가계 총자산 중 ‘거주주택 외 부동산 비중’은 평균 13.5% 로 4개국 평균의 3.3배 수준임입니다. 각국 가계 총자산 대비 거주주택 외 부동산 비중은 한국(13.5%), 미국(3.2%), 영국(2.8%), 호주(7.9%), 네덜란드(2.2%)으로전체 가계 중 거주주택 외 부동산을 보유한 가계 비율을 추가로 확인해 본 결과, 우리나라 열 가구 중 세 가구 이상이 거주주택 외 부동산을 보유(32.3%)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부동산 비중은 가구주 연령이 20대 일 때 이미 39.5%이며, 30대에는 64.4%로 급등한 후 이후 연령이 올라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60대 이상인 경우에는 84.4%에 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모든 자산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에 비해 주식은 상대가 안되는 비중입니다.

    주식은 맨날 하락하고, 개미들 죽는다고 난리쳐도 정치권에서 아무런 대응이 없죠?

    여기에 답이 있습니다. 주식 인구가 별로 안되니, 신경을 안쓰는 겁니다.

    반면 부동산은 조금만 안좋아도 시위하고 난리 칩니다. 그러면 정치인들은 무조건 신경을 써야할수 밖에 없습니다.

    바로 지지율에 직격탄을 주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