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무엇이든지궁금해하는물음표???
무엇이든지궁금해하는물음표???

아이들에게 회초리는 절대 안들어야지 맞는건가요?

워낙 요즘에는 체벌이다 뭐다 해서

회초리 드는것도 참 조심스러운데요

아이들이 잘 못을 했을 경우 말로 하는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그 잘 못이 반복되는 경우에도

말로만 해야 하는지 회초리를 들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어떤 경우라도 폭력은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아이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또다른 인격체라고 생각한다면 체벌은 절대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회초리를 들고 싶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매를 들어서 아이를 때린다고 하면

    아이의 그 행동이 바로 개선될까요?

    아이는 그 순간이 무섭고 공포스럽기 때문에 순한 양처럼 고분고분해지기는 할 것입니다.

    아이에게 매를 들고나면 부모 마음도 좋지 않고

    아이와의 관계도 멀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매를 들어서 우리 엄마, 아빠는 무서운 사람이야! 라는 것을 각인시켜 줄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아이의 잘못된 행동, 즉 관찰한 행동을 말해주고

    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해줍니다.

    그러고 나서 앞으로 어떻게 해주면 좋겠는지를 부탁하며 마무리하는게

    매를 드는 것보다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고 해서 회초리를 들어서 훈육을 하는 체벌은 절대 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아이에게 체벌을 가했다면 이 행동은 아동학대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강력한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훈육은 체벌을 가하지 않아도 언어적으로 충분히 가능 합니다.

    훈육의 정의는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는 것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했듯 언어로 훈육은 충분히 가능 합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았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회초리나 체벌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조심해야 할 문제입니다. 현대의 많은 연구와 전문가들은 체벌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체벌은 아이가 부모에게 두려움을 느끼게 하여 신뢰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아이는 더 반항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체벌을 통해 학습하는 것은 일시적인 행동 변화일 뿐, 아이가 잘못된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 반복되는 경우, 대화와 긍정적인 훈육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집안의 규칙을 명확하게 정하고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며, 잘못된 행동의 자연스러운 결과를 경험하게 하고, 그 행동이 왜 잘못인지 차분하게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칭찬이나 보상을 통해 아이가 규칙을 잘 지켰을 때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하고, 부모가 올바른 행동을 직접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체벌은 아이가 부모나 양유자와의 신뢰를 잃게 만들고 두려움과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회초리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해결하기보다 일시적인 반응을 초래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회초리를 사용하는 것은 절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체벌은 아이에게 신체적 고통을 주는 것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잘못된 행동에 대한 처벌 보다는

    좋은 행동에 칭찬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나 체벌은 당장의 행동은 막을 수 있지만

    아이에게 반감을 주고, 부모와의 대화를 단절 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