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소득이 있으면 세금이 있어야 하는데 왜 정부는 소액을 버는 것에 대해선 비과세를 하나요?
소득이 있다면 무조건 세금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수입이 적은 사람들은 아예 과세를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이럴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호균 세무사입니다.
소득이 많은 국민에게 많은 세금을, 소득이 적은 국민에게 적은 세금을 부과하여 소득재분배 효과를 실현하고 행정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함입니다.
근로소득의 경우 상위 10%의 근로소득자가 72%이상의 세금을 부담하고있으며,
종합소득의 경우 상위 10%의 국민이 전체세금의 80%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수치로 예를들자면, 상위 1%의 근로소득자는 2억4천만원의 세금을 부담하는데 반해, 하위 50%의 경우 0~40만원의 세금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상위 1%의 소득자는 하위 50%의 600~1,000명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고 있으므로 행정적인 측면에서 볼 때 1,000명의 세금을 관리하는 것 보다는 상위 1명의 세금을 관리하는 것이 더 행정비용이 적게 들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성진 세무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세금을 과세하는 누진세구조이고
소득이 낮으면 기본적인 공제로 세금이 과세되지 않을 수있으며
정책상 과세가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비과세로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소득 크기와 관게없이 과세소득이라면 세금이 과세되는 것이나, 기본적인 공제항목만 적용하더라도 납부할 세금이 없을 수는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