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투명한너구리11
투명한너구리11

소화기의 종류따라 어떤 차이가 있나요?

저는 일반적으로 빨간색 소화기만 알고있었는데 식당 주방안에는 은색깔 소화기도 있고 투명한 조그마한 통안에 액체로된 소화기도 있더라구요 종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러프한 스누피
    러프한 스누피

    안녕하세요. 끈질긴매미39입니다.

    소화기 종류

    분말소화기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소화기로 인산암모늄이 주성분이며, 방사 된 약제는 연소면의 피복에 의한 질식, 억제작용에 의해 일반화재, 전기화재 등 모든 화재에 효과적이나 소화약제는 다른 종류의 분말 소화약제와는 화학성질이 다르므로 혼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소화기는 건조된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분말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방습제 등을 첨가하여 용기본체에 충전하고 분말약제를 방사할 수 있도록 압축가스를 봉입한다. 이 압축가스의 봉입방법에 따라 용기 본체에 직접 봉입하는 축압식과 별도의 용기에 충전하여 소화기 본체에 부착하는 가압식이 있다.

    이 소화기는 안전핀을 제거하고 손잡이를 누르면 봉판이 파괴되고 이 때 압축가스에 의해 약제를 방사하게 된다.


    이산화탄소(CO2)소화기

    이산화탄소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상으로 용기에 충전되어 있으며, 고압가스 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고압가스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적고 전기절연성도 크기 때문에 전기화재에 많이 사용된다.


    하론소화기

    할로겐 화합물 염화, 메탄 등으로 되어 있는 소화기로서 B, C급 화재에 쓰이고 사용 후 흔적이 없고 방출할 때에 물체에 전혀 손상이 없어 좋은 소화기이나, 가격이 비싸고 최근에는 프레온과 같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사용이 규제되어 생산량이 크게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