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별로 통신상태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저희나라에 대형 통신사는 3군데 있습니다. 단 서로 영업을 하며 각자가 최고라고 하는 것인데요. 실제로 통신상태의 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차이가 별로 없는 것 같기는 한데, 그러면 통신망은 하나로 통합해도 되는 것 아닌가 하는게 제 생각인지라요.. 그러면 더 통신상태가 좋아지고 쓸데없는 배선은 없어지지 않을 까 싶은게 저의 생각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통신사별로 통신에 대한 빠르기 통신사별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중계기의 차이가 통화품질과 통신 상태등을 결정 짓게 됩니다. 중계기가 많을 수록 더 넓고 더 많은 지역을 커버하면서 신호도 강하게 통신하여서 어느지역에서나 더 빠르게 빨리 사용가능한것입니다. 또한 중계기가 많을 수록 밀집된 도시에서는 분배하여서 통신이 가능해서 느려지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문자님 말씀 처럼 중계기를 하나로 통합하면 다 동일한 통신을 사용하게 되어서 불필요 전선이 없어질것이지만 통신사별로 자체적으로 투자 유지 하는 부분이라서 통합은 어려울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통신사별로 통신 상태 차이는 실제로 존재합니다. 각 통신사의 네트워크 인프라, 주파수 할당, 기지국의 위치와 밀도, 기술적 업그레이드 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런 요소들은 특히 도시와 농촌 지역 간, 또는 건물 내외에서의 접속 속도와 안정성에 영향을 줍니다.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면 경제적으로 효율적일 수 있지만, 통신 기술 발전과 경쟁 촉진을 위해서는 여러 통신사가 존재하는 것이 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 서로 경쟁하며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문제는 통신 상태는 여러 요인에 의해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각 통신사는 자신의 네트워크 인프라, 주파수 대역폭, 기지국 위치 및 수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고 운영합니다. 작은 차이는 기술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나 특정 시간대의 네트워크 부하에 따라 차이가 더 두드러질 수도 있습니다.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면 중복 투자는 줄일 수 있겠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이나 사용자의 선택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경쟁이 없는 단일 통신망에서는 서비스 질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생각처럼 통합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와 지속적인 기술 발전으로 점차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각 통신사마다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통신상태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단 통신사마다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거기서 발생할 수 있는 차이가 있을 거고요
이용자가 많은 피크시간대에 다소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걸 관리할 수 있는 기술력이 통신사마다 다릅니다
그리고 알뜰폰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요금제마다 제공하는 데이터의 속도가 다르잖아요
이런 것도 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각자 최고라고 하지만 경제적 무선 주파수대는 skt가 선점, 지하로 국가적으로 포설한 유선망은 KT가 (유선 인터넷이 제일빠름) 기존 두 통신사 중계기에 정부사업적으로 지원이 많은 LGT 이렇게 각자 장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요즘은 통신사별로 상향평준화가 되어 어디든 통신 품질을 못느낄 정도로 좋습니다.
다만 통신사별로 본인들의 중계기 설치가 얼마가 되어 있느냐에 따라 통신이 얼마나 불량이 없고
잘 터지냐 말할 수 있는데요.
중계기가 잘 되어 있는 곳에서는 통신 불량이 없지만 안되어 있는 곳은 느릴 수 있습니다.
통신사별 중계기가 많이 설치 되어 있을수록 빠르다기 보다는 전파가 느려지지 않는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대연 전문가입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3개 통신사의 경우 통신상태가 서로 다릅니다.
일단 세개 통신사에 할당된 주파수가 다르며, 이를 중계하는 중계기의 밀도와, 수량이 서비스 3사가 모두 다르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중계기 설치수량이 적은 통신사가 아무래도 느리다고 볼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통신사별로 기지국 밀도, 주파수 대역, 기술 차이로 통신상태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모두 상향평준화 되어 큰 차이는 없습니다.
통신망 통합은 가능하지만, 경쟁과 서비스 품질 차별화 등의 이유로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로 lte 속도의 경우 skt, lg, kt 순으로 빠르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통신사별 사용하는 대역밴드가 다른데요.
그래서 통신이 밴드별로 분배되어 전송되는거죠.
이게 모두 동일밴드가 되면 통신품질이 떨어지겠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통신망을 통합하는 것은 기술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서 복잡합니다. 경쟁이 사라지면 서비스 품질 향상이나 요금 인하를 위한 동기 부여가 줄어들 수 있고, 통합 비용도 매우 클 수 있습니다. 통신사 간 경쟁은 서비스 혁신을 촉진하는 역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통신사 3곳은 각자 독립된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어 지역별로 통신 상태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통신 품질은 기지국의 배치 네트워크 트래픽,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통신사가 더 나은 품질을 제공하는 지역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면 중복된 인프라를 줄이고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경쟁이 줄어들면 서비스 개선 동력이 약해질 수 있어 이점과 단점이 공존하는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주요 통신사 3사는 각각 다른 기지국과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합니다. 따라서 각 통신사 별로 기지국 밀도 ,주파수 대역, 네트워크 관리 차이로 인해 통신 상태가 다를 수 있습니다. 통신망 통합은 비용 절감이란 측면에서는 좋을수도 있으나, 경쟁이 사라지기 때문에 품질 개선에 대한 동기부여가 약화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