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늘격렬한딸기
늘격렬한딸기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왜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왜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나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의 분자구조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물질로, 아주 많은 작은 분자가 연결돼 큰 분자 체인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자연 상태에서 산화되거나 생분해 되지 않는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들은 플라스틱의 구조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분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으로는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할수 있으며

    미생물의 플라스틱 분해 효율을 높일수 있습니다.

    이는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미생물의 개체수를 약 5배 증가시켜 생존력을 증가 시키며,

    플라즈마 처리된 미생물들은 플라스틱의 분해를 가속화하는 산화 작용이 약 8배 이상 높일수 있습니다.

    해당 기술은 세계 최초로 입증되었으며 폐플라스틱의 친환경적 처리 가능성을 크게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의 경우 자연분해 되려면 500년 이상의 시간이 지나도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다고 해요.

    많은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발견되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에 희망을 주고 있어요.

    하지만 미생물의 분해 속도보다 매년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양이 너무 많다는 것이에요.

    또한, 식물성 원료인 생분해성 친환경 플라스틱의 경우 온도 58도, 수분 70%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면 땅에 묻으면 반년에 자연스럽게 분해된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