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심해생명체는 수압을 어떻게 견디나요?

안녕하세요. 바다 깊은 곳에서 사는 심해생명체는 굉장히 강한 압력을 받아 살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어떻게 높은 수압을 견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해 생물들은 견고하거나 유연한 체형을 가지고 있어 외부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예컨데, 많은 심해 물고기는 내부 공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는 압력에 의한 체내 가스의 압축을 방지합니다. 그들의 몸체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체내 기관의 압력 손상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세포 내부의 생화학적 환경을 조절하여 높은 수압 하에서도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 지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저온과 높은 압력에서도 세포막의 기능을 보호합니다. 그리고 효소와 같은 단백질은 극한 조건에서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습니다. 심해 생물의 효소는 고압과 저온 환경에서도 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안정화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열 안정성과 결합되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수심이 10m 내려갈 때마다 수압이 평균 1기압씩 증가하는데 이 원리대로 계산하면 수심 10km의 해구에 사는 심해 생물은 무려 1천기압의 압력을 받는 것인데요, 이렇게 엄청난 수압을 견디고 심해 생물이 심해에서 서식할 수 있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를 가지고 있지 않은데요, 부레는 공기 주머니입니다. 대신에 심해 어류의 경우 몸속 빈 공간을 주변 공간과 마찬가지로 물로 채워넣는데, 이를 통해 외부 압력과 내부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 높은 압력 조건에서도 찌그러지지 않는 것입니다. 또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심해어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는데, 가장 큰 부분은 몸에 기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즉, 높은 수압을 받는 심해생물들은 일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게 되었는데, 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이나 기름을 채워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몸 안에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이 압력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해어에게는 부레가 없습니다.

    또한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것입니다.

  • 심해생명체는 높은 수압을 견디기 위해 몸 내부와 외부의 압력을 균형 있게 유지하며, 탄력성이 있는 세포막과 최소한의 공기 주머니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압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