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의 넉인 넉아웃이라는게 무엇인가요
ELS의 조기상환조건이나 손실조건을 보게되면 매우 생소한 개념인 넉인 넉아웃이라는 개념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넉인 넉아웃이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넉인은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수준 이하로 하락하면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녹인 베리어를 의미하고 넉 아웃은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수익률이 확정되는 녹아웃 베리어를 의미합니다.
ELS의 수익구조는 다양하나,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목적과 시장상황에 맞는 ELS를 선택해야합니다. ELS는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으로 넉인과 넉아웃을 설정하여 원금 손실 및 수익률 확정 여부를 결정하는 상품이므로 투자자는 더욱 유의 하여 상품을 매매해야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넉인"은 조기행사를 의미하고, "넉아웃"은 조기만기를 의미합니다. 즉, 넉인 옵션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옵션을 조기행사할 수 있는 옵션을 말하고, 넉아웃 옵션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옵션이 조기만기되는 옵션을 말합니다.
ELS의 넉인과 넉아웃은 투자 상품의 조기 상환과 관련한 특별 조건입니다. 넉인은 주가가 특정 기준 가격 이하로 떨어졌을 때 활성화되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이 활성화되면 원금 손실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넉아웃은 주가가 정해진 가격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조기 상환 조건이 충족되어 투자금과 이자를 받고 상품이 종료되는 걸 말합니다.
질문해주신 ELS 관련 용어로 넉인, 넉아웃에 대한 내용입니다.
Knock-In이란 원금비보장형 상품에서 원금 손실이 발생가능한 조건으로
평가기간 중 기초자산이 한번이라도 Knock-In 베리어 미만으로 하락하게 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깁니다.
Knock-Out 이란 원금지급형에서 볼 수 있는 용어로 지수가 일정조건 이상 상승하게 되면
수익률이 확정되는 것으로 기존의 수익구조는 사라지는데 그 구간을 의미합니다.
ELS(주가연계증권)에서 낙인(Knock-in)은Els의 기초자산이 기준으로 정한 가격보다 하락하였다는 뜻입니다. 기초자산 중에서 1개라도 낙인을 당하면 최소 35% 이상은 원금손실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ELS를 가입하실 때는 배리어, 기초자산, 낙인, 수익률 등 4가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낙아웃(Knock-Out)은 ELS에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수익이 확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일정 기간 동안 10% 상승하면 10%의 수익을 지급하고, 10% 이상 상승하면 5%의 수익을 지급하는 낙아웃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면, A기업의 주가가 10% 이상 상승하면 5%의 수익이 확정됩니다. 낙아웃 조건은 ELS의 수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ELS를 투자할 때는 낙아웃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의 투자 목적과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 낙 아웃형 ELS는 기초자산 가격이 하락해도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낙 인형 ELS보다 유리한 측면이 존재하고, 기초자산 지수가 상승함에 따라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형태입니다. 단, 일정 수준을 초과해서 올라 낙 아웃 배리어를 터치하게 되면 낮은 수익률을 지급 받게 된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낙아웃이란 원금지급형에서 볼 수 있는 용어로, 지수가 일정조건 이상 상승하면, 수익률이 확정되면서 기존의 수익구조는 사라지게 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낙인이란 원금비보장형 상품에서 볼 수 있는 용어로, 원금손실이 발생가능한 조건이머 평가기간 중 기초자산이 한번이라도 낙인 베리어 미만으로 하락한 경우 원금손실 발생 가능성이 생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