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류, 전압이 부족할수 있나요?
보통 시동이 걸리면 제네래다 (발전기) 가 작동하여 전압 및 전류가 배터리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거 아닐까요?
시동시에는 사제 부착물 (LED, 선풍기 등) 좀 단다 해서 발전기나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겠죠?
만일 오디오나 usb 전원이 가끔 꺼지는 증상이 있을시 어디를 체크해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첫 번째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합니다. 자동차 전기적으로 부하에 따라 일정량 수준으로 전류를 보상하는 장치를 아이들업 장치라고 합니다.
Ex) 전조등 작동, 에어컨작동 등을 작동하였을때 엔진 rpm이 올라감
전기적인 부하가 걸릴 때 이 장치들이 rpm을 일정 이상 올려서 보상 받게끔 시스템이 되어있는데 실제로 얼마나 보상받는지는 실측을 통해 확인을 해봐야합니다.
통상적으로 모든 전기장치(도어 오픈, 에어컨 풀작동, 헤드라이트 작동 등)을 하여 발전기 보상전류가 발전기 규격전류의 80%이상, 전압은 13V후반에서14볼트초반까지 정상이라고 판단합니다. 규격전류는 발전기에 스티커로 많이 붙어 있습니다.
두번째 질문에 답을 드리겠습니다.
자동차의 전원은 크게 5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상시전원,acc전원.ig1,ig2,스타트전원
상시전원은 메모리하기 위한(의자위치 시간, 에어컨 작동 상태 기억 등등)전원이고
Acc전원은 시계, 라디오 장치등을 사용하기 위한 전원이고
Ig1은 시동을 유지하기 위해 쓰는 전원(ecu,점화장치,연료분사장치, 이외에 필요한 센서전원)
Ig2는 시동유지에 필요없는 장치(에어컨,헤드라이트 등등등)
스타트전원은 시동모터를 돌리기 위한 전원입니다. 기본적으로 키를 돌려 시동을 걸때 그 순간만 상시전원, ig1,스타트전원 빼고 acc전원과 ig2전원은 죽어버리는데 (시동시 전기적 부하를 최소화 하기위해)이 설명을 왜하냐면 해당 사제품의 전원을 어디에다 연결했는지 알수없어 남겨드렸습니다. 시동 걸때 사제품이 꺼진다면 사제품이 배터리와 발전기에 무리주는 건 아니니 걱정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마지막 질문에 답을 드리자면 발전기에 문제가 없다는 조건으로 해당 오디오나 usb등을 관리하는 통합 모듈이 있다면 모듈점검을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