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생리일 기준이 아닌 마지막 관계후 기줔으로 임신했다고치고 45주가 지났으면 출산을 안했을리없는거죠?
마지막 생리일 기준이 아닌 마지막 관계후 기준으로 임신했다고치고 45주가 지났으면 출산을 안했을리없는거죠? 임신거부증이라 해도 그런가요?
임신이 만약에 되었다면 그리고 잘 유지가 되었다면 출산을 안 했을 리가 없는 오래된 기간이 맞으며 임신과 관련된 신체적 변화가 무조건 발생하였을 정도의 충분한 기간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임신 기간은 보통 마지막 생리일을 기준으로 약 40주 정도로 계산하는데요. 하지만, 마지막 생리일이 아닌 마지막 성관계일을 기준으로 한다면 임신 기간이 약간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성관계 이후부터 계산할 경우, 실제 수정이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임신 기간을 조금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관계 후 임신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45주가 지나도록 출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이는 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임신 기간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의학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는데, 임신 지속 여부나 태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것입니다.
한편, 임신 부정증은 여성의 심리적 상태가 임신 사실을 부인하거나 인식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심리적 요인이 있다 하더라도 신체적인 임신 및 출산 과정 자체가 지연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45주가 지났다면 태아의 발달이나 건강 상태에 대한 평가가 중요할 것입니다. 임신 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질문자분께서는 바로 병원에서 상황을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임신 기간은 일반적으로 마지막 생리일을 기준으로 계산하지만, 임신이 마지막 관계 후에 시작되었다고 가정하면, 보통 40주 정도가 평균적인 임신 기간입니다. 45주가 지난 경우, 정상적인 임신 기간을 지나 이미 출산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임신 거부증(혹은 출산을 회피하려는 의식적 행동)이라 하더라도, 45주가 지나면 아기가 이미 태어났을 확률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