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돌던지기로 물위를 통통 튀는 일명 물수제비의 원리는 어떻게 설명가능한가?
드라마에 최근 또 자주 나오는 면이 있던데
강이나 호수 같은 곳으로
돌맹이들 던져서
수회에서 십여회 까지
돌이 통통통 튀면서 가는
소위 물수제비 장면이
여러번 나오는 걸 봤습니다.
아주 어릴 적
저수지에서 사촌들과 낚시하러 갔을 때
사촌형들이 하는 걸 보고
따라 해본적은 있으나
사실 너무 어려서 인지 저는 성공한 기억이 없는데요
이게 정확하게
과학적으로 어떤 원리로 이런 일이 일어나나요?
그 핵심원리를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을 물리적으로 본다면 돌이 도는 회전력, 돌의 속도, 돌과 물 사이의 각도 그리고 물의 표면장력이 복합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돌이 물에 부딪치는 순간 돌의 운동에너지가 변화하고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반발력이 생겨 돌이 물위에 뜨게 됩니다. 이때 앞에서 말한 속도와 각도가 적절하다면 더욱 많은 물수제비를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