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태조왕건과 태조 이성계의 차이와 어떤 정책적이념이 달랐을까요?

우리나라의 핵심 통일 국가는 고려와 조선시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두 국가를 건국한 인물인 왕건과 이성계는 어떤 차이와 정책적 이념이 어떻게 달랐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태조 왕건은 지방 호족 출신으로 후삼국을 통일하여 고려를 건국하였습니다. 그는 결혼 정책, 사성 정책을 통해 호족을 포용하고 불교를 숭상하고 민생을 안정시켰습니다. 반면 이성계는 신흥 무인세력으로 신진사대부와 결탁하여 조선을 건국하였습니다. 그는 성리학을 중심으로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억불숭유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신진사대부와 협력을 통해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강화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려의 왕건과 조선의 이성계는 서로 상이한 정책 이념으로 나라를 건국하였습니다.

    당시 시대상황으로 보았을때 왕건은 분열되어있던 후삼국시대(고려, 후백제, 신라)를 전쟁과 포섭을 통해 통일국가를 건국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분열된 지방 호족 세력을 규합할 필요가 있었으며, 건국 당시 정책과 이념도 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습니다.

    왕건의 고려는 불교를 숭상하였는데, 이는 지방 호족을 포용하기에도 알맞았습니다. 또한 당시 강대했던 호족세력과 결혼을 통해 동맹관계&복속관계가 됨으로써 나라를 안정시켰습니다. 왕건의 유언으로 알려진 훈요십조에도 호족과의 좋은 관계를 당부했던것을 보면 이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 했었습니다.

    조선의 이성계는 망해가는 고려 대신 조선이라는 나라를 건국하였습니다. 역성혁명으로 조선이 건국되었기 때문에 이성계의 건국 이념은 건국에 정당성이 필요하였고, 유학을 더욱 숭상하여 조선을 건국하였습니다.

    당시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한 신진사대부들이 유학자 출신이기도 하면서, 성리학적인 통치 이념은 망해가는 고려 대신 백성을 구원할 이성계에게 정치적인 정당성을 부여하여 주었습니다.

    조선의 건국 자체에 정당성 부여가 가장 큰 미션 중 하나였기 때문에 고려에서 숭상했던 불교를 반대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성리학적 통치 이념을 공고히 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