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4

경제에서 물가변동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요.

경제기사를 보면 흔히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오른다고 하는데요.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환율이나 유가가 뛰면 왜 물가에 영향을 주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3.10.24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보통 수요도 늘어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서 물가가 오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환율이나 유가가 강세를 보이면 우리나라는 많은 물건을 수입하여

    물가가 올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기사에서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상승한다고 하는 것은 시장에 화폐 유동성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사람들에게는 화폐가 많이 있다 보니 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기업들의 실적이 상승하게 되요. 그럼 이렇게 공급 물량에 비해서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자산들의 가치는 더욱 희소하게 되면서 가격 상승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물가상승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경기가 좋은 경우에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은 화폐의 유동성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가 이후에 발생하기 때문이에요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기업 수익 증가 > 고용 증가 > 가계 수입 증가 > 구매력 증가 > 물가 상승

    환율 및 유가는 아래와 같이 물가에 반영됩니다

    유가 상승 & 환율 상승 > 원자재 수입 가격 상승 > 상품 제조 원가 상승 > 상품 가격 상승 > 물가 상승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의 근본적인 원인은 화폐가치의 하락입니다. 최근에는 시장에서 돈을 빌리는 이자가 굉장히 쌌기 때문에, 많은 유동성들이 시장에 풀려났고, 이로인해 자산가격들도 많이 상승했습니다.

    뭐든지 흔해지면 가치가 하락하고, 희소하면 가치가 상승합니다. 시장에 돈이 흔해져서 가치가 하락했고, 상품을 사기 위해선 같은 상품이라도 더 많은 돈을 낼 수 밖에 없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좋아진다는 것은 수요가 증가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수요-공급 곡선에서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하게 됨을 의미하며, 이는 물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